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인천·경기지역 소외계층에 대한 무료급식 중단으로까지 번져 난감하다. 바이러스 창궐로 인해 휴원·휴업·휴관과 졸업식 등 각종 행사 취소가 잇따르고 있지만 무료급식 중단은 예기치 못한 상황이다. 아무리 역병 문제가 중하다지만 가뜩이나 하루하루 연명하기 바쁜 이들에게로 불똥이 튄 것은 쉽게 이해되지 않는다.

인천지역 봉사단체와 공공기관들이 운영하던 무료급식소는 이번 주를 기해 대부분 잠정 폐쇄됐다. 사단법인 전국자원봉사연맹은 매주 화·수·토요일 실시하던 무료급식을 중단했으며, 적십자 인천지사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열던 단체급식 행사인 '배부름'을 취소했다. 남동구노인복지관 등 각 지역 복지관들도 무료급식을 중단했거나 중단을 검토 중이다. 경기도 수원시는 6개소의 노숙인 자활·급식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나 신종 코로나가 확산되면서 무료배식 및 자활프로그램을 임시 중단했다.

또 하루 평균 2600여명이 이용하던 10곳의 무료 경로식당 운영도 중단됐다.

혹시 생길 수 있는 불상사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고육책이라지만 노숙인과 홀몸노인들은 당장 끼니를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현재까지 추세로 볼 때 신종 코로나 감염율이 백만분의 1도 안되는 실정에서, 이들에게는 바이러스보다 밥을 굶는 상황이 더 두려울 것이다. 옛날에도 서민들은 역병보다 기아를 더 무서워했다. 인간 생존에 있어 가장 기본은 먹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나마 문을 연 무료급식소도 자원봉사자가 급감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천 부평역·주안역 등에서 노숙인 등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사랑의 빨간밥차'는 정상 운영되고 있지만 자원봉사자가 절반 이상 줄어 배식이 원활치 않다고 하소연한다.

재앙이 닥치면 '없는 자'들이 가장 큰 피해와 고통을 받기 마련이다. 무료급식소 등의 운영 중단이 바이러스 감염 차단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지만, 가장 기본적인 사회안전망 붕괴로까지 이어질까 우려된다. 무료급식은 소외·취약계층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사회장치다. 신종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되면 무료급식 중단도 장기화시킬 것인가를 묻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