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은 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첨단 ICT 기반 출입국 행정 융합기술' 개발과제 기획
"현장에서 출입국자들이 보균자인지, 감염자인지 신속히 판단해 국내에 들어오기 전 먼저 대응하자는 생각으로 기술 개발 과제를 기획했습니다."

'첨단 ICT 기반 출입국 행정 융합기술' 개발 과제를 기획한 유영은 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은 5일 인천일보와 인터뷰에서 "연구적 관점에선 계속 진행 중인 과제"라며 이 같이 밝혔다.

유 연구원은 "우선 비행기에 탑승한 사람들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는 병원에서 확진 검사를 받아야 알 수 있다"며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기내 등 현장에서 바로 진단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술은 기내에서 승객들의 발열 여부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거나 기침을 했을 때 공기질 상태나 비말(침방울)이 묻은 기내 물품 등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 특정 바이러스를 발견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그는 "기내에서 바이러스가 확인되면 감염자나 보균자가 탑승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해당 비행기를 대상으로 특별검역을 실시해 감염병의 국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ICT를 기반으로 감염 의심자가 어느 지역에서 어떤 경로로 들어오는지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감염병 대응력을 높이는 내용도 기획안에 포함했다. 가령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발병한 중국에서 제3국을 경유해 들어온 입국자를 미리 선별해 집중 검역을 펼치는 방식이다.

입국 전 단계에서 감염자를 찾아내 입국과 동시에 선제적 대응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가 검역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기술이란 시각이 많다. 현재 국내외 검역 체계는 입국 단계에서 방역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유 연구원은 "충분히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다. 다만 기술적으로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자신이 기획한 기술 개발 과제가 지난해 2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제3회 다부처협력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다부처 공동사업으로 선정되고도 예산 문제로 탈락한 것에 대해선 담담한 모습을 보였다. 다부처협력특별위원회는 여러 부처 간 공동사업을 기획·선정하고 융합기술 연구개발 활성화 등 다부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구성된 기구다.

유 연구원은 "다부처 공동사업 대상으로 선정됐으나 부처 간 예산 확보 단계에서 잘 안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신종 코로나 사태처럼 감염병 확산 문제는 계속 반복될 수 있기 때문에 (탈락과 별개로) 연구를 멈추지 않겠다"고 밝혔다.

/박범준 기자 parkbj2@incheonilbo.com


관련기사
기내 감염병 의심자 찾는 기술, 돈 없어 개발 포기했다 정부 4개 부처가 운항 중인 여객기 안에서도 특정 바이러스(병원체)를 찾아내는 등 입국 전 단계에서 감염병 유입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첨단기술 개발 과제를 다부처 공동사업으로 선정했다가 예산 문제로 포기한 사실이 드러났다.국가 방역망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속수무책으로 뚫리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미래 감염병 발생 대응을 위한 기술 개발에 소홀했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게 됐다. ▶관련기사 하단 링크5일 법무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토교통부·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들 부처는 지난해 2월8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제3회 다부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