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종식 1등 공신인데 … 코로나와 사투 외롭다

 

▲ 3일 오전 도의료원 수원병원에서 의료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의심 환자들이 다녀간 선별진료소 내부를 소독하고 있다. 이 의료진은 "의심환자 1명이 다녀갈 때마다 새 방역복으로 갈아 입고 진료소 전체를 소독해야 한다"며 "인력이 부족해 혼자서 여러가지 업무를 처리한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이성철 기자 slee0210@incheonilbo.com


2015년 도중점치료병원 … 의료진 156명 한달여 전쟁

당시 음압격리병상·의료진 확대 계획 … 현재 그대로

고비용·저수익 '감염내과' … 예산·인원 부족 어려움



경기지역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환자 치료를 책임지면서 '공공의료기관 감염병 예방 롤 모델'로 평가받은 도의료원 수원병원의 감염병 의료체계가 5년째 제자리에 머물러 있다. ▶관련기사 3면

전문 의료진과 각종 감염예방 시설 확충이 반드시 필요했지만 행정기관이 이를 뒷받침 해주지 못했기 때문이다.

3일 경기도와 수원병원 등에 따르면 수원병원은 2015년 6월 메르스가 확산하자 전담 치료를 맡는 '경기도 메르스 중점 치료센터'로 지정됐다.

수원병원 의료진과 민간병원에서 파견된 전문의, 간호사 등 156명이 24시간 비상근무하면서 한 달 넘도록 사투를 벌였다.

그 결과 경기지역 첫 확진환자부터 마지막 환자까지 모두 66명을 치료하면서 '메르스 조기종식 1등 공신 병원'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경험을 살려 대형 감염병 치료와 예방에 특화한 병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지역사회가 기대했다.

그때뿐이었다. 장비와 인력, 시설 등 감염치료를 위한 최소한의 단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당시 수원병원은 감염 치료에 필수인 음압격리병상을 8곳에서 30곳으로 대폭 늘리기로 계획했다. 하지만 현재 국가지정 기준에 맞는 음압격리병상은 2곳 밖에 없다.

도의료원 6곳 중 수원병원에 1명밖에 없는 감염 전문의를 충원하려는 계획도 세웠지만 이뤄지지 않았다. 공공의료기관이 고질적으로 겪는 예산 부족이 원인이다.

도의료원은 아무래도 '의료취약계층'에 대해 감염병 예방관리 등 공공보건의료사업을 수행하다보니 수익과 거리가 먼 운영이 이뤄지고 있다. '만성적자' 탓에 인건비 체불을 비롯해 퇴직급여를 감당하지 못하는 등 악순환이 이어지자 2018년 경기도가 대책을 강구하고 나서기도 했다.

하지만 재정은 늘 넉넉지 못하다. 공공사업비에 쓰이는 예산으로 보면 2014년 50억2700만원 이었다가 2016년 39억6200만원으로, 2018년에 22억9300만원 수준으로 급감했다. 시설·장비지원에 쓰이는 예산도 2014년 194억원에서 2019년 124억원으로 줄었다. 이 금액은 병원 전체 지원예산으로 감염내과만 한정하면 더 줄어들 것으로 추정된다.

감염내과는 타 부서에 비해 수익성이 현저히 떨어지는데 막대한 비용을 들여 각종 감염병 시설을 짓는 건 사실상 어렵다는 게 도의료원 본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렇다고 도 등 행정기관으로부터 적절한 지원이 이뤄진 것도 아니다.

수원병원은 감염병 시설 확충 등에 필요한 예산이 제대로 지원되지 않으면서 정부의 의료기관 인증제(3주기)에서 떨어질 뻔했다. 보건복지부 등 정부로부터 감염 등 병원 안전을 공인받는 제도다. 수원병원은 이 인증제를 통과하기 위해선 의료기구 세척 등 2차 감염 방지 시설인 중앙공급실과 세척실 건립이 중요했다. 다행스럽게도 지난해 지원을 요청한 지 6개월 만에 예산이 편성되면서 공사를 진행할 수 있었다.

경기도의료원 관계자는 "정부가 도에 지원한 예산 중 일부가 남으면서 지원받았다. 운이 정말 좋았다"며 "수원병원, 안성병원, 이천병원을 제외한 나머지 3곳도 동일한 시설이 필요한데 지원이 이뤄질지 미지수다"고 말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감염병 대응체계를 만들기 위한 직접적인 지원 예산은 없다"면서도 "음압격리병상을 설치비와 유지비를 지원했고 앞으로도 필요한 부분에 대해 확인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현우·이경훈 기자 littli18@incheonilbo.com



관련기사
[감염병 공공의료체계 무엇이 문제인가] 상. 경기도의료원 6곳중 1곳만 체계 갖춰 경기도의료원 거점병원 6곳 '코로나 선별진료소' 운영음압격리실 수원·안성·이천 9개뿐 … 시설 태부족'1300만 도민의 공공의료 강화'라는 목적에 운영되고 있는 경기도 지역 거점 공공병원이 '의료진 부족' 등 열악한 체계로 감염병과 사투를 벌이고 있다.▶관련기사 3면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등 환자가 급증하는 유사시에 나서는 일선 병원이지만, 정작 활용도는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2일 경기도와 경기도의료원 등에 따르면 2004년부터 경기도의료원 6곳을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수원 [긴급진단/ 공공의료체계] 인터뷰 - 정일용 경기도의료원장", 감염병 대응능력 미비 … 지원 절실" "공공의료기관의 감염병 대응 능력은 아직 미비합니다. 앞날을 위해서 공공기관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합니다."정일용(사진) 경기도의료원장은 3일 "공공병원 의료진들은 감염병 환자 치료를 위한 시설조차 없는 열악한 환경과 전문 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정 원장은 인천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공공의료기관이 처한 감염병 대응체계 실태를 설명하면서 해결 방안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정 원장은 우선 감염 내과를 활성화하지 못한 이유로 '낮은 수익성'을 꼽았다.그는 "감염내과는 소화기과 등 다른 부서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