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경기도 방역망이 또다시 뚫렸다. 메르스 사태 이후 5년 만에 국가적 재난 상황을 맞은 셈이다. 메르스 파동 이후 우리사회는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겠다고 호언하고 준비했다. 그러나 그때뿐이었다. 메르스 사태 이후 시·군 역학조사관 설치를 약속했지만 광역정부에 겨우 설치하는 등 생색내기용에 그쳤다. 이같은 허술한 공공의료체계는 이번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에 제대로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 여기에 공공의료를 책임지고 있는 경기도 거점 공공병원의 감염병 의료체계도 허술하다는 점이다.

경기도 의료원 6곳 중 감염병 전문 의료진을 확보한 곳은 수원병원 단 한 곳뿐이다. 이들 공공병원은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 당시 치료기관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음압격리실을 대대적으로 설치했다. 수원병원 2실, 이천병원 4실, 안성병원 3실 등 모두 9개 실을 갖췄다. 하지만 시설만 있을 뿐 감염병을 치료할 전문 의료진이 부족하다. 지난 2일 기준 도내 확진자는 5명이고 접촉자는 164명(감시해제 4명)에 이른다. 그나마 감염병 전문 의료진이 있다는 수원병원도 상황은 열악하다. 현재 수원병원에는 전문의(감염내과) 1명, 간호사 2명이 감염병 업무를 맡고 있다. 감염내과는 특성상 심장내과, 호흡기내과 등 관련 부서와 협업 시스템이 마련돼야 하지만 이 부분도 부족하다. 의사 등이 참여하는 경기도 감염병관리위원회에서도 이같은 문제가 지적된 바 있다고 한다.

공공의료기관의 상황이 이러하니 감염병 전문병원 설치는 언감생심(焉敢生心)이다. 여야는 지난 19대 대선에서 모두 권역별 감염병 전문병원 설치를 공약으로 내세웠으나 실제 추진된 곳은 호남권역 전문병원 1곳뿐이다. 그나마 병원 가동은 2022년에야 이뤄질 것이라고 한다. 이러다보니 전염병과 같은 긴급 사태에 제대로 대응하기 어렵다.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수많은 희생을 통해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지불했다. 그럼에도 설마설마하며 감염병 공공의료체계 완비를 미루면서 또다시 재난 상황을 맞았다. 더 이상 미뤄서는 안된다. 이번에는 공공의료체계를 완비할 수있는 장치를 마련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