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엔 음압구급차(재난·감염병 특수구급차)가 1대뿐이다. 정부가 다른 지역에 비해 훨씬 적게 배치했다. 지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사태가 악화일로를 걷는데, 무책임하다는 비난을 받는다. 인천은 '대한민국 관문'인데도 정부는 이를 전혀 감안하지 않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가뜩이나 인천에 대한 항만·관광지원 등에 소홀하다는 비판이 높은 상황에서 곱씹어 봐야 할 대목이 아닐 수 없다.

정부는 신종 감염병 환자를 옮기는 과정에서 병원체 전파를 차단하려고 특수 제작된 음압구급차를 인천지역에 고작 1대(가천대 길병원 운영)만 배치했다. 각각 8대와 7대를 운영 중인 서울과 경기는 물론 3대씩 보유한 강원·경북보다도 적다. 국가 감염병 관리 체계의 허술함을 드러낸 사례다. 강원과 경북의 경우 인천보다 인구 수가 훨씬 적다. 경남·전북·전남·광주도 각각 2대를 보유 중이다. 정부는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이후 전국 권역응급의료센터에 3억원짜리 음압구급차 30대를 배치한 상태다. 이렇게 음압구급차가 지역 수요에 맞게 배치돼 있지 않은 탓에 현장에서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지적도 받는다. 실제로 지난달 29일 기준 전국 음압구급차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의심환자 이송 내역은 2건에 그쳤다.

인천엔 국제 여객수 기준 세계 5위인 인천공항이 자리한다. 인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해외 감염병이 가장 먼저 유입되는 중요한 길목이다. 인천은 공항과 항만을 오가는 수많은 인원에다 300만명에 이르는 '주거 밀집지역'으로 꼽힌다. 이러니 자칫 지역으로 유입된 신종 감염병이 확산되면, 도시 전체에 치명적 위협을 가할 수 있다.

그런데도 정부의 안일한 대처로 시민들에게 위험과 불안감을 안겨준다면, 그 책임은 누가 지는가. 환자 이송 과정에서 감염병이 차량 밖으로 배출되면, 큰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 이동인구를 감안할 때 인천에 음압구급차를 늘려야 하는 이유다. 이런 마땅한 일에 소홀하다가 신종 감염병이 퍼진다면, 국가적 재앙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한 대책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지역 수요에 걸맞는 음압구급차 배치 현황을 꼼꼼히 다시 따져 봐야 할 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