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초부터 신임 인천항만공사 사장을 결정하는 절차가 시작된다. 지난 주 마감된 인천항만공사 제6대 사장 공모에는 모두 8명이 지원했다고 한다. 이들 중 2명은 역시 예상한대로 해양수산부 고위 간부 출신들이다. 인천에서도 몇몇이 지원했지만 벌써부터 지역 사회의 우려가 크다. 그간 5차례의 인천항만공사 사장 임명 과정에서 지역사회의 목소리는 전혀 반영되지 않아서다. 이번에도 인천과는 무관한 전관예우식 낙하산 임명이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들이다.

이와 관련, 인천경실련은 지난 28일 "인천항만공사 사장 임명 과정에서 박남춘 시장이 '협의 권한'을 적극 행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항만공사법 제16조는 임원추천위원회가 복수로 추천하는 사람 중에서 해양수산부장관이 해당 시·도지사와 협의를 거쳐 임명토록 규정하고 있다. 그간에는 사실상 협의도 없이 중앙의 일방적인 낙하산 인사였다고도 지적했다. 인천항을 운영하는 인천항만공사는 그간 풀어내지 못한 현안들이 산적해 있다. 신국제여객터미널 개장에 따른 기존 제1·2국제여객터미널 활용방안도 그 중 하나다. 표류하고 있는 인천내항 재개발과 중고자동차수출단지 조성 등의 과제는 시급하다. 이 모든 현안들이 인천항만공사와 인천시가 머리를 맞대고 풀어나가야 할 문제들이다.

인천경실련은 "인천항만공사 사장이 정부와 정치권 눈치만 살피는 관료·정치인 출신이다 보니 지역사회와의 소통이 어려웠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인천평화복지연대도 "또 다시 낙하산 인사가 된다면 인천항만공사 사장직이 해수부 퇴직 공무원을 위한 보은의 자리가 될 뿐"이라고 주장했다.

인천항은 인천 지역경제의 3분의 1을 견인한다. 같은 국가 공기업이지만 부산·울산·여수항만공사 등에서는 낙하산 일색이지가 않다. 부산항만공사 사장에는 부산해양연맹 회장, 부산상공회의소 부회장 등 지역출신이 대부분 임명돼 왔다고 한다. 울산항만공사 사장 가운데 지역 연고가 없는 사장은 찾기 어렵다고 한다. 인천항이 서울에서 살면서 출퇴근이 가능한 곳이어서 그런 것인가. 이번에는 반드시 인천항이 있는 인천의 의견이 반영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