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현장에서] 김영호 평택보건소장

 

 

 

 

 

 

▲ 김영호 평택보건소장. /평택=오원석 기자 wonsheok5@incheonilbo.com
▲ 김영호 평택보건소장. /평택=오원석 기자 wonsheok5@incheonilbo.com

 

역학조사관 도내 시·군 전무

도 6명 있지만 부족한 수준

감염병 신속 대처에 어려움

메르스 당시 부재로 못 막아

고용 권한 지자체로 확대를


"감염병 역학조사관이 부족하다는 문제는 메르스 사태 이후 5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
김영호 평택보건소장은 28일 "감염병에 걸린 환자와 가장 처음 마주하는 게 일선 시·군인데 메르스 사태 이후 아직까지 시군에 역학조사관이 없어 신속한 대응에 어려움을 겪는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관련기사 3·4·6·18·19면

김 소장은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확산을 막기 위해 최일선에서 진두지휘한 이후 이번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과 싸우고 있다.

역학조사관은 특정 감염병의 원인과 특성을 파악하는 역학조사를 통해 전염병의 확산을 막을 방역 대책을 세우는 전문가다. 질병 원인을 수사하듯 찾아야 하기에 '질병 수사관'이라고도 불린다.

김 소장은 인천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역학조사관이 없어 초기대응에 실패했던 메르스 사태를 떠올리며 역학조사관의 중요성을 수차례 강조했다.

김 소장은 "메르스 사태 당시 환자가 발생했을 때 여러 상황을 판단해 격리 여부를 결정하는 권한이 있는 역학조사관은 한 명도 없었다"며 "그렇다보니 현장에서는 혼선이 발생하고, 일일이 유선으로 보고하면서 시간을 낭비했다. 결국 확산을 막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김 소장은 5년이 지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확산하는 현시점에도 유사한 문제를 겪고 있다며 안타까워했다.

그는 "감염병은 특성을 파악해 신속히 대응하는 게 필수다. 그 역할은 역학조사관이 한다"며 "메르스 사태 이후 생긴 경기도 감염병공동대응단, 역학조사관 6명(전문 1명·수습 5명)과 함께 공조하면서 도움을 받고 있지만 세심히 살피기엔 인력은 부족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이외에도 결핵, C형간염, 콜레라 등 관리해야 할 법정 감염병이 80종에 이르기 때문에 감염관리에 구멍이 생길 수밖에 없다는 게 김 소장의 설명이다.

김 소장은 "물론 지자체 보건소 직원들도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갖고 있지만 감염병을 관리하기에 부족하다"며 "정말 역학, 병리학에 대해 전문 지식이 있고 풍부한 경험을 쌓은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역학조사관을 둘 수 있는 권한을 시·도에서 지자체로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역학조사관 역할이 중요한 만큼 전문 교육 시스템도 활성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소장은 "예방에 있어서는 전문가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며 "감염병 대응 선진국으로 나아가려면 역학조사관이 각 지역별로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밝혔다.

/이경훈 기자 littli18@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