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지역 환경단체와 어민들이 정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에 사용한 약품에 4급 암모늄화합물인 DDAC가 포함됐다며 이 약품사용을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DDAC는 흡입 시 폐 손상을 일으키는 물질로 과다 노출될 경우 동물기형과 어류치사를 일으킬 수 있는 약품으로 알려져 있다. 환경단체와 민통선 어민들은 이보다 열흘 앞선 지난 6일에도 정부의 항공방제로 임진강 물고기 어획량이 현격히 줄었다며 한 차례 더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만약 이들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참으로 고약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아무리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을 막는 게 중요했다손 치더라도 사용해서는 안되는 약품까지 사용해 더 큰 화를 부를 가능성을 야기한 꼴이기 때문이다.

그야말로 묵과할 수 없는 일이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사전 배포한 자료를 통해 수면에 직접 방역하는 게 아니라고 밝힌 바 있다. 비무장지대와 민통선 멧돼지 활동지 등에서 산림지 중심으로 방역했고, 생물에 축적되지 않는 구연산 제재를 사용했다는 게 정부의 주장이었다. 그러나 시민단체와 어민들은 정부가 집중방역에 나선 지난해 9월29일부터 10월22일까지 연천, 파주 등지에서 4급 암모늄화합물이 포함된 바이킹을 사용했다고 반박한다. 또 임진강과 눌노천 등에서는 수면에 직접 방역하는 것을 목격한 주민들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미 허가된 ASF약품에는 바이킹 외에도 사람이나 가축, 물고기에 영향을 끼치는 약품이 다수 포함돼 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그러니 이참에 동물전염병과 축산농가들이 사용하는 소독약 성분들을 재조사해보자는 것이다. 나쁘지 않은 제안이다. 아직은 아프리카돼지열병 상황이 종료되지 않았다. 잠시 주춤할 뿐이다. 한동안 발병하지 않고 있으나 구제역 역시 언제 다시 발병할 수 있을지 누구도 장담하기 어렵다. 조류독감도 거의 해마다 반복되는 동물 전염병이다. 이런 기회에 사용하는 약품들을 전수조사하고 관련 제도를 정비하는 건 오히려 권장할 만한 일이다. 그러기 전에 기왕지사 의혹이 제기된 터에 이번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에서도 어민들과 시민단체들이 주장하는 약품을 사용한 게 사실인지, 명명백백히 밝히는 게 먼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