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는 오래 묵혀 온 숙제들이 많다.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지 못해 정부 지원에 목을 매는 사업들도 있다.

또 어떤 것들은 지역사회 내부의 갈등에 발목 잡혀 있기도 하다. 이런 사업일수록 각종 선거 때만 되면 금방이라도 해결될 것처럼 온갖 약속들이 난무한다. 그러나 그때 뿐, 늘 변죽만 울리다가는 흐지부지돼 왔다. 이런 과정을 거쳐 장기 미해결 과제들이 쌓여온 것이다. 이대로 가서는 인천의 지속가능 발전을 기약할 수가 없다. 난제일수록 팔을 걷어부치고, 반대의 목소리들까지 공론의 장으로 끌어들여야 한다.

인천시가 새해 시정 운영 방향을 정하면서 해묵은 난제 16개 항목을 설정하고 해결 의지를 다짐했다고 한다. 해결의 실마리를 푼 사업 6건과 진척 단계의 사업 7건, 추진 중인 현안 3건 등이다. 해결의 실마리를 푼 대표적인 사업 중에는 월미바다열차도 있다. 지난 10년간 갈팡질팡하다가 지난해 10월 비로소 운행에 들어갔다. 서울지하철 7호선 청라 연장선 사업도 2021년 착공, 2027년 개통이라는 청사진만 나와 있는 상태다. 진척 단계의 사업 중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및 주변지역 재생사업은 비교적 활기를 띠고 있다. 반면 영종~강화 평화도로 건설은 영종~신도 구간만 올해 착공된다. 동구 송현동~중구 신흥동 연결 산업도로는 배다리 지역에서만 1차 민관 합의를 이끌어냈고, 전 구간 개통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문제는 실마리를 잡지 못한 채 발등의 불이 되어 있는 현안들이다. '지하도상가 관리 운영 조례' 개정은 인천시와 인천시의회가 수개월째 평행선을 달리고 있어 비정상의 정상화가 차질을 빚고 있다. 수도권매립지 종료 및 자원순환 정책 전환은 4자 간 협의마저 겉돌고 있다. 인천의 폐기물을 스스로 처리해야 할 소각장 확충 문제는 지역 민원에 발목 잡혀 한 발도 떼지 못하고 있다.

이제는 인천 지역사회가 스스로를 성찰해야 할 때다. 궂은 일이라고 유야무야 계속 피해 나간다면 인천의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

특히 자체 쓰레기매립장 확보나 소각장 확충 문제는 인천의 미래와 지속가능 여부를 판가름하는 시험대다. 정면돌파가 어려우면 차선책이라도 찾아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