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은 경기지역의 표심이 어느 쪽 손을 들어줄 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1대 총선이 문재인 정부 출범 4년차에 실시돼 문재인 대통령 집권 후반기 국정 운영 동력을 좌우할 분수령이 될 정도로 우리 정치 지형을 바꿀 수 있을 만큼의 파급력을 지닌 탓이다.


경기지역은 전체 253석 지역구중 60석(20대 총선 기준)을 가지고 있다. 즉 경기지역의 승리 여부에 따라 선거 전체 승패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다.


20대 총선(2016년) 때 경기지역은 더불어민주당 40석,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 19석, 정의당 1석으로 민주당이 압승했다. 이를 바탕으로 민주당은 전체 123석을 차지하며 원내 1당으로 올라섰다.


18대 총선(2008년)은 한나라당(현 한국당)이 32석으로, 17석에 그친 통합민주당을 압도하면서 한나라당이 전체 153석을 얻어 통합민주당(81석)을 따돌렸다.


게다가 경기지역은 선거 때마다 제기되는 각종 이슈에 따라 민심이 요동치는 곳이어서 결과를 예측하기가 쉽지 않은 지역이다.

현재 여당은 '문재인 정부 개혁 지지'를, 야당은 '정권 심판론'을 내세우고 있다.


먼저 '문재인 정부 개혁 지지'를 내세우고 있는 민주당은 이번 총선에서 승리할 경우 국정 운영에 탄력이 붙게 돼 각종 개혁 법안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예상 된다.


그러나 민주당이 총선에서 패배할 경우 문재인 정부 후반기 국정 운영 동력이 힘을 잃게 돼 조기 레임덕의 가시화는 물론, 당 내부에서의 총선 패배 책임론이 집중적으로 제기되는 등 극심한 내홍에 빠지게 될 것이다.

반면 한국당은 '정권 심판론'으로 국민들의 정서를 자극하고 있다.


한국당은 승리할 경우 현 정권에 대한 공세의 수위가 한층 높아져 당장 제21대 국회 시작부터 정부·여당에 대한 강력한 공세가 예상된다.


특히 이번 총선이 오는 2022년 제20대 대선의 전초전 성격을 띠고 있는 만큼 총선 승리를 기반으로 정권교체를 위한 밑그림을 본격적으로 그릴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한국당이 총선에서 패배할 경우 대선과 지방선거 패배에 이은 3연패로 최악의 경우 당의 존립마저 불투명한 상황이 될 수도 있다.

다른 시각도 나온다. 양당정치에 피로감을 느끼는 유권자들이 제3 정치세력에 힘을 실어줄 경우 강력한 균형자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기존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 우리공화당 등이 난립한 상황에서 바른미래당에서 갈라진 새로운보수당, 노동당에서 나온 기본소득당, 미래를향한전진4.0(전진당) 등이 창당하기로 했다.


특히 군소정당들은 민주당과 한국당 등 양대 정당의 내부 경쟁에서 밀린 인사들에 대한 '이삭줍기'를 시작했다.

이같은 다자구도로 20대 총선에서 박빙의 승부를 연출한 지역구가 많았다.


20대 총선에서 불과 1%대 득표율 격차로 승패가 갈린 곳은 전국에 모두 13곳인데 이 중 인천·경기 지역이 안산 상록을(1.54%), 안양 동안을(1.95%), 인천 중구·동구·강화·옹진(1.28%) 등을 포함해 모두 8곳에 달했다.


남양주시갑의 경우 조응천 민주당 후보(3만2785표, 40.07%), 심장수 새누리당 후보(3만2536표, 39.77%)의 표차는 229표(0.3%)에 불과했다. 군포시갑 역시 김정우 민주당 후보(2만5687표, 38.51%), 심규철 새누리당 후보(2만4961표, 37.42%)는 726표(1.09%) 차로 당락이 갈렸다.


지역정가 관계자는 "20대 총선에서 국민의당은 새누리당과 민주당 모두의 표를 흡수해버렸다"며 "이 때문에 3자 구도로 진행된 선거구가 많이 나타났고 초박빙 지역도 덩달아 생겨났다"고 말했다.


하지만 선거가 다가올수록 이들의 연대와 통합 작업도 병행되는 만큼 아직 결과를 예단하기는 어렵다.


또 다른 지역 정가 관계자는 "도내 군소정당의 경우 경쟁력 있는 후보가 많지 않다"며 "흔히 선거 막바지때 한국당 견제를 위한 정당 또는 개인 차원의 통합이나 단일화 등을 이루려면 움직임이 있다"이라고 말했다.

/최남춘·최인규 기자 baikal@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