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시설 현대화 용역 착수...도심 설치 등 발상전환 의견도

인천 전역으로 범위를 넓혀 군·구 또는 권역별로 폐기물 시설을 설치하는 계획이 내년 안으로 수립된다.

인천시가 수도권매립지 문을 닫겠다고 밝힌 2025년이면 현재 소각장으로 처리하지 못하는 생활폐기물이 하루 1000t에 가까울 것으로 분석됐다.

시청사 옆에 소각장을 설치한 해외 사례를 참고해 환경기초시설을 도심 속 주민 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인천시는 24일 인천문화예술회관 회의장에서 '자원환경시설 친환경 현대화사업 타당성 검토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를 열었다.

시가 6억3200만원을 투입하는 이번 용역은 내년 12월까지 1년간 진행된다.

시는 이번 용역으로 소각장 등 자원환경시설의 필요 용량을 산정하고, 기존 시설 대체·폐쇄 여부와 군·구별 또는 권역별 설치 방안을 찾는다.

후보지 타당성 검토를 거쳐 여론조사 등을 통한 갈등 관리 과제도 제시된다. 용역 수행기관은 ㈜한국종합기술, 브니엘네이처㈜로 선정됐다.

자체 폐기물 매립장 조성을 선언한 시는 소각시설 확충을 선결 과제로 내세우고 있다.

인천 광역 폐기물 소각시설은 각각 2001년, 2006년부터 가동된 청라와 송도 자원환경센터 두 곳뿐이다.

청라 소각장의 내구연한(15년)이 지났지만, 시설 현대화 추진 과정에서 지역 반발에 부딪히자 시는 인천 전역을 대상으로 이번 용역에 착수했다.

인천 폐기물의 소각 비율은 2017년 기준 30.36%에 그친다. 하루 910t의 폐기물을 처리하는 규모다.

시는 소각시설 용량이 늘어나지 않으면 2025년 하루 940t의 폐기물을 지금처럼 직매립해야 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대로라면 수도권매립지 종료와 친환경 방식의 자체 매립지 확보도 어려워지는 상황이다.

인천 폐기물 발생량도 2014년 1746t에서 2017년 2280t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발생량은 2797t으로 급증했다.

이날 착수보고회에선 기피시설로 인식된 소각장 접근법부터 재설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강원모(민·남동구4) 인천시의원은 "해외 사례를 보면 시청사 옆에 소각장을 짓기도 한다. 환경기초시설에 플러스 알파로 공원 등 다른 시설을 결합하는 형태로 발상을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경두 인천연구원 기후환경센터장도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 소각장 입지를 선정하면 해안가밖에 선택되지 않는다. 미래 수요에 대응하는 정책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재충 시 자원순환과장은 "용역 착수 시기가 늦어진 측면이 있지만 공론화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소각시설을 주민 편의 공간으로 제공하는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며 "군·구와 협의해 폐기물 감량화에도 역점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