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지자체들의 '시민 협치'가 꽃을 피우고 있다. 지자체마다 시민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제도를 정비하고, 조례 제정을 통해 직접 민주주의 발현을 지속적으로 가꾸기 위한 방안도 찾고 있다.

경기도는 올해 초 민관협치를 도정의 주요 핵심 기조로 삼았다. 도는 민관 협치를 실현하기 위한 자문기구인 민관협치위원회를 출범시킨 뒤 다양한 방식을 모색했다. 협치의 성과도 나타났다.

민간 토종씨앗 보전단체들과 경기도가 '경기도우리씨앗네트워크'를 구성해 논의한 끝에 토종종자은행을 만들었다. 민·관협치로 토종씨앗 보전을 논의하고 은행까지 만든 건 경기도가 전국 최초다.

도내 지자체 협치도 본격화됐다. 올해 4월 광명시민 100여명이 한자리에 모였다. 지난해 12월 광명시가 도내 최초로 제정한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조례'의 핵심인 협치기구를 구성했다. 군포시도 지난 10월8일 협치 실현을 위한 기구인 '100인 위원회'를 공식 출범했다. 조례를 제정한 지 3개월 만이다. 위원회 출범 준비과정은 철저했다. 시는 20차례 이상 회의, 3차례의 시민 공청회를 거치는 등 심혈을 기울였다. 100인위원회는 같은 달 21일 또다시 모여 '향후 100년 간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그 결과 새로운 군포 100인위원회 운영 활성화, 산본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GTX 금정역 주변 복합개발, 창의-융합 교육으로 군포 맞춤형 인재 육성 등이 10대 핵심전략사업으로 선정됐다.

수원시도 이달 협치기구 구성을 완료하면서 시민들의 논의를 앞두고 있다. 앞서 1월 시가 협치기구 운영의 근거가 될 조례를 제정하자 참여한다는 시민들이 이어지는 등 관심이 뜨거웠다. 양평군도 지난달까지 2차례 모임을 갖고 지역 고질적인 문제였던 '농촌 쓰레기 처리방안'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가고 있다. 이렇게 도내 지자체들의 다양한 실험과 시민들의 참여가 시민협치를 진일보시키면서 결실이 하나씩 나오고 있다.

성숙한 민주주의는 시민의 참여에서 나온다. 형식적인 생색내기용 협치가 아닌 실질적인 정책을 이끌기 위한 협치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소통은 필수다. 협치가 낡은 정치를 청산하는 '무기'가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