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항공사가 김포공항 소음대책지역 주민지원 사업 확대를 명분으로 김포공항의 국제선 증편을 검토하고 있어 해당 지역주민들의 반발이 우려된다. 최근 김포공항에서 한국공항공사 서울지사 주최로 열린 서부수도권행정협의회 소속 지역 단체장들과의 간담회에서 공항공사는 "김포공항 착륙료 수익에 비해 254.1%의 예산이 소음대책사업비로 집행되고 있다"며 김포공항 국제선 증편 필요성을 언급했다.

자료를 통한 제언 형식이지만 공사는 착륙료 발생 공항에서 소음대책사업비를 집행토록 하는 관련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사업재원 마련이 더 어렵다는 입장이다. 국제선 증편에 따른 예상 수익을 검토하고, 저소음 항공기의 취항 유도와 주간시간대 운항 배정으로 운항 증가에 따른 소음민원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안까지 내 놓은 걸 보면 김포공항의 국제선 증편을 다시 추진하겠다는 의지로 볼 수밖에 없다.

앞서 지난해 12월 서울시의회 의원들은 서울시가 착수한 김포공항과 그 주변지역 활성화 방안 용역에 맞춰 '김포공항 활성화 지원방안' 조례를 제정했다. 서울시의회 시정 질문에서도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김포공항 국제선 증편 주장이 나왔다. 또 박원순 서울시장도 조건부 김포공항 국제선 증편에 반대하지 않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인천공항 개항 당시 국토부가 내세운 국내선 중심 김포공항 기능을 지역경제 활성화를 명분으로 공항공사가 서울시를 배경으로 뒤집으려는 의심까지 들 정도다. 공항 주변 지역민들을 위한 지원사업 확대 요구도 꺼내기도 전에 나온 공항공사의 선제적 대응에 참석자들이 머쓱해진 것은 당연하다.

김포공항은 2017년 기준 하루에 386회, 연간 14만1080회의 항공기가 이용하면서 주변지역 25.67㎢가 소음대책지역으로 지정 고시돼 공항공사는 이들 지역에 해당하는 서부수도권행정협의회 각 자치단체에 소음대책사업을 지원해 왔다. 이런 상황에서도 소음과 미세먼지 등으로 인한 학습권 등 생활권과 재산권 침해 등 관련 민원이 줄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국제선 증편보다 시급한 것이 지난 10년째 동결된 소음피해지역에 대한 지원예산 확대가 먼저라는 것을 모를 리 없는 공항공사가 답답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