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인천지역 11대 업종 총수입금액 중 12.9% 달해
자립 위한 인프라 충분 … "정부 지원사업 따내야" 주장도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 리스트에서 배제하고 수출 규제를 시작한 지 정확히 5개월이 지났다.

정부와 기업들은 일본 제재에 맞서 소재·부품·장비산업 다변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천시도 지난달 26일 동반성장위원회와 공동으로 '소재·부품·장비산업 국산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성장 투어'를 여는 등 지역 내에서도 관련 산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는 시기다.


▲인천, 11대 소재·부품 업종 수출 지난해 200억달러 돌파

3일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 종합정보망' 자료에 따르면 '섬유제품',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등 11대 소재·부품 업종 인천지역 기업들의 지난해 총수출액은 203억3810만 달러다.

수출 액수로만 따지면 17개 시·도 가운데 경기(945억6231만달러), 충남(427억7938만달러), 서울(364억5676만달러), 경북(248억5399만달러)에 이어 상위 다섯 번째다.

인천 11대 소재·부품 수출액은 해당 통계 조사를 시작한 2003년 36억2265만달러에서 15년 만에 461% 성장했다.

인천과 마찬가지로 같은 기간 전국에서 400%대 이상 수출액이 증가한 지자체는 제주(1789%), 충북(709.8%), 경기(504.2%), 강원(467.3%), 대전(437.4%) 정도다.

인천은 2000년대 이후부터 소재·부품 기업들이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몰려들면서 업체 수나 수출액 모두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인천은 소재·부품 기업이 광역시 중 가장 많은 지역으로 꼽힌다.

2017년 인천지역 소재·부품 업체는 1927곳으로 전국에서 경기(9134곳), 경남(3102곳), 경북(2234곳)에 이어 소재·부품 기업이 많다.

지난해 기준 11대 소재·부품 업종의 인천지역 수입액은 모두 152억7360만 달러로 수출액보다 50억6450만 달러 더 적다.


▲11대 소재·부품 업종 수입 중 일본 13%. 일본 비중 낮출 해법 찾아야

지난해 11대 소재·부품 업종 인천지역 총수입액 152억7360억달러 중 일본 수입 금액만 19억6986만달러(12.9%)에 이른다.

반대로 같은 기간 인천지역 11대 소재·부품 업종 기업들이 일본에 수출한 액수는 9억1584만달러 수준이다.

일본을 상대로 한 수입 금액과 수출 금액이 두 배 이상 차이 나는 것이다. <표 참조>

2018년 일본에서 수입한 11대 소재·부품 업종 전국 총금액이 288억4889만달러인 상황에서 인천 수입액이 6.8%나 차지한다.

일본 수출 규제를 계기로 한국 소재·부품·장비산업의 자립을 이루기까지 인천은 이를 소화할 수 있는 인프라가 조성된 '기회의 땅'인 동시에 점차 일본 의존도를 낮춰야 할 과제를 안은 도시인 것이다.


▲소재·부품·장비 육성 정책 인천 흡수 높여야

정부의 소재·부품·장비 집중 육성 계획에서 선두 사업은 중소벤처기업부와 기술보증기금 등이 진행하는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강소기업 100)'이다.

'강소기업 100'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소재·부품·장비 전문기업 육성 로드맵인 '스타트업 100, 강소기업 100, 특화선도기업 100 프로젝트' 중 첫 번째로 시행되는 프로젝트다.

지난달 11일 중소벤처기업부는 강소기업 100, 1차 서면평가를 통과한 전국 301곳 중소기업 명단을 발표했는데 인천지역 기업은 단 11곳에 그쳤다.

17개 시·도에서 7번째로 낮은 비중(3.7%)이다.

인천에서 신청한 기업은 65곳으로 경기(426곳), 경남(84곳), 서울(80곳), 부산(68곳) 다음으로 희망자가 많은 지역이었다.

인천지역 한 경제단체 관계자는 "정부가 전국에서 소재·부품·장비 업체 100곳을 뽑겠다는 건, 지역에서 관련 산업을 대표하는 기업을 추리겠다는 뜻이다. 이런 경쟁 구도에서 인천이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면 결국 몸집에 비해 알맹이가 부실하다는 뜻밖에 안 된다"며 "인천시나 관련 지원 기관들이 발 빠르게 나서서 정부 지원 사업을 따낼 수 있도록 코칭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더해 소재·부품 산업 등 원천 기술 개발을 위한 '소재·부품·장비산업 실증화 지원센터'를 남동산업단지에 유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인천시는 지난 10월 말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열린 스마트산단 관계 기관 회의에서 실증화 지원센터 건립을 공식 요청하기도 했다.

지난달 20일 인천지방중소벤처기업청에서 열린 '남동구 소재 중소기업 규제애로 간담회'에 참석한 맹성규 국회의원(인천남동갑, 더불어민주당)은 "소재·부품·장비 기술 혁신을 위한 지역 내 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라 '소재·부품·장비산업 실증화 지원센터'가 남동산단에 유치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김원진 기자 kwj7991@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