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아세안 관계, 주변 4강국 수준으로…아세안 모든 국가와 정상회담
한·아세안 공동비전 성명 등으로 아세안과 협력 지평 확대
아세안 모든 국가 북한과 수교…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증진도 기대
문재인 대통령이 11월 23일 오전 청와대에서 리셴룽(李顯龍) 싱가포르 총리와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리셴룽 총리는 오는 25∼27일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 참석차 공식방한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문재인 대통령이 11월 23일 오전 청와대에서 리셴룽(李顯龍) 싱가포르 총리와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리셴룽 총리는 오는 25∼27일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 참석차 공식방한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25일부터 사흘간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및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문재인 대통령은 23일 리셴룽(李顯龍) 싱가포르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사실상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일정에 돌입했다.

문 대통령이 취임 직후부터 4강 중심의 외교 틀을 다변화해 세계 경제회복의 엔진이자 '블루오션'인 아세안과 전면 협력 시대를 열어가겠다고 한 만큼 이번 정상회의는 문재인 정부의 외교 정책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청와대는 무엇보다 이번 정상회의를 통해 '사람 중심의 평화 공동체'를 표방하며 문재인 정부 외교의 한 축을 담당하는 신남방정책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려 '신남방정책 2.0'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는 각오다.

청와대와 정부는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잠재적 성장 가능성이 큰 아세안과의 협력 지평을 확대해 본격적으로 경제영토를 확장하겠다는 계획이다.

연 5%대 성장률을 기록하는 아세안과의 교역 규모를 2020년까지 2천억 달러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달성하면 현재의 중국과 맞먹는 시장을 하나 더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다양한 경제적 협력 증진 방안 논의다.

문 대통령은 정상회의 기간 장모의 건강 문제로 불참을 통보한 훈센 캄보디아 총리를 제외하고 아세안 9개국 정상과 회담을 하면서 정보통신기술(ICT) 등 산업협력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우호 관계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캄보디아에서는 프락 속혼 부총리 겸 외교부 장관이 대신 참석해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회담할 예정이다.

청와대는 현재 협상이 진행 중인 한·필리핀 및 한·말레이시아 자유무역협정(FTA)을 타결하는 한편, 향후 아세안과의 구체적 협력 방안을 담은 '한 아세안 공동비전성명'을 통해 경제적 협력이 심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성명에는 한·아세안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 평화로운 지역 구축, 경제 파트너십 강화, 연계성 심화, 지속가능성 및 환경 협력, 사회·문화 파트너십 강화 등 분야별 협력 방향도 제시된다.

정상회의 기간에는 분야별 구체적인 경제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는 행사들도 개최된다.

문 대통령은 아세안 국가 정상들과 24일 스마트시티 시범도시인 부산의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착공식에 참석해 스마트시티 관련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26일에 열리는 한·아세안 스타트업 엑스포 및 스타트업 서밋은 한·아세안 글로벌 창업 생태계 조성 협력을 다짐하는 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정상회의 계기에 북미 간 비핵화 대화와 함께 교착 상태인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진전의 모멘텀을 찾을 수 있을지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문 대통령은 애초 이번 행사 기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방남을 성사시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힘을 보탠다는 구상이었다.

그러나 북한 관영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은 정상회의 개막 나흘 전인 지난 21일 김 위원장의 불참 소식을 보도했다.

애초의 계획이 실행되지는 못했으나 아세안 모든 국가가 북한과 수교를 맺고 있다는 점은 이번 정상회의가 한반도 평화 진전의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낳게 한다.

문 대통령은 23일 리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지난해 6월 싱가포르가 제1차 북미 정상회담을 개최해 북미 대화의 물꼬를 터준 데 사의를 표하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해 건설적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리 총리는 "대화를 통한 신뢰 구축으로 한반도 평화가 점진적으로 나아가기 바란다"며 "끝까지 함께하겠다"고 화답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