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46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찾아가는 인천·경기 의병] 10. 13도창의대진 대대장으로 활약한 강화의병장 연기우 (상) [찾아가는 인천·경기 의병] 10. 13도창의대진 대대장으로 활약한 강화의병장 연기우 (상) 경기도 삭녕 출신으로 분견대 부교 역임…적성·철원·장단 등지서 수많은 전과2015년 8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기록 '진위대 복무 중'·'제물포서 의거' 오류◆ 강화의병장이 되어연기우(延基羽) 의병장은 기우(起羽·基宇)·기호(基浩)·봉렬(奉烈) 등의 이명이 있는데, 에는 초명이 민우(敏宇)로 상주목사를 지낸 연비(延庇)의 13세손으로 나와 있다.연기우는 경기도 삭녕(朔寧) 출생으로 알려져 있으나, 적성(積城)의 선비 출신으로 전해지기도 한다. '순국선열 의병장 연기우 문화종합 | 인천일보 | 2020-03-15 19:48 [찾아가는 인천·경기 의병] 9. 강화분견대 병정 출신 의병장 박계석 [찾아가는 인천·경기 의병] 9. 강화분견대 병정 출신 의병장 박계석 강화진위대 8년간 근무 중 군 해산 맞아이듬해 지홍윤 휘하 의진서 중대장 맡아도굴범 6명 처단·수 차례 일본군과 교전11월12일 순사대에 피체…압송 중 순국◆ 의병장이 된 강화분견대 병정강화진위대 입대하여 강화분견대가 해산할 때까지 약 8년 동안 근무하였고, 지홍윤(池洪允) 의진에서 중대장으로 활약하다가 인천경찰서 순사대에 의해 피체, 끝까지 항거하는 바람에 피살된 박계석(朴啓石) 의병장은 강화군 송해면 하도리 354번지 출신으로 이명은 박개석(朴開碩)·박완민(朴完民)이라 했고, 피체될 당시 주소는 '송정면 솔정동(率井洞)& 문화 | 인천일보 | 2020-03-08 19:34 [찾아가는 인천·경기 의병] 8. 일본 군함·수뢰정과 맞선 강화의병장 김용기 [찾아가는 인천·경기 의병] 8. 일본 군함·수뢰정과 맞선 강화의병장 김용기 1875년 황해도 배천 출생시위대 부교 출신으로 군대 해산 후 광무황제 밀지 받은 박정빈 의진 창의돌격대 총대장으로 활동이듬해 4~10월 강화 인근 해역서 일 어선·지도선 공격 등 활약11월 총기 구입차 경성 갔다 피체1909년 7월3일 경성감옥서 순국◆ 강화도와 인근 도서지방 의병투쟁 기록강화도와 인근 도서지방의 의병투쟁 기록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1908년 4월 이후인데, 당시에는 피체된 의병이 없어서 의병장이나 의진의 규모가 드러나지 않았다. 의병들이 처음에는 한두 척의 범선(돛단배)를 이용하다가 점차 그 규모가 문화 | 인천일보 | 2020-03-01 19:56 [찾아가는 인천·경기 의병] 7. 황해도에서도 명성 떨친 강화의병장 지홍윤 [찾아가는 인천·경기 의병] 7. 황해도에서도 명성 떨친 강화의병장 지홍윤 일본군 1개 중대 격파 등 큰 공적 세워 임정의 '광복군소사'에 19번째로 소개보훈처 '공훈록'엔 고작 세 문장 기록…이진룡·이근수 의진과 연합 활동 빠져◆ 지홍윤 의병장의 피체와 진술1909년 2월4일, 인천경찰서장 경시 미야다테(宮館貞一)는 경기도 강화 지역뿐만 아니라 황해도 배천·연안·평산 등지에서도 명성을 떨치던 강화의병장 지홍윤(池洪允·일명 지홍일池洪一)을 1월30일 개성경찰서 순사대가 체포했다는 것과 그의 행적에 대하여 내부경무국장 마쓰이(松井茂)에게 보고하였다.경기도 강화군 읍내면폭도수괴(暴 문화 | 인천일보 | 2020-02-23 19:24 [찾아가는 인천·경기 의병] 6. 강화분견대 봉기의 주역 유명규 의병장 [찾아가는 인천·경기 의병] 6. 강화분견대 봉기의 주역 유명규 의병장 휘하 병졸 50명 이끌고 봉기 앞장서갑곶 일대 상륙하던 일본군과 전투김포 통진으로 퇴각했다 피체·순국훈장 추서됐으나 후손 찾지도 못해러일전쟁에서 승기를 잡은 일제는 대한의 재정을 핑계로 대한의 시위대·친위대 등의 축소와 함께 6개 연대 18개 대대로 구성된 지방군대인 진위대를 8개 대대로 축소한 것은 1905년 4월16일이었다.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제는 그 해 9월5일 포츠머스조약의 체결로 대한을 더욱 거세게 압박, 11월17일, "대한의 황제 아래 일본인 통감을 둔다"는 을사늑약으로 1906년 2월 '한국통감부'를 문화 | 인천일보 | 2020-02-16 19:39 [찾아가는 인천·경기 의병] 5. 강화 대동창의진(大東倡義陣) 대장 이능권(하) [찾아가는 인천·경기 의병] 5. 강화 대동창의진(大東倡義陣) 대장 이능권(하) 강화분견대, 군대 해산에 맞서 봉기갑곶 상륙 일본군 공격해 11명 사상이능권, 이듬해 거의…300여명 모여김수민 의진과 연합…전등사서 격전무기 구매차 한성 갔다가 피체·순국 ◆ 강화분견대 군인과 강화군민의 분노강화분견대는 비교적 군기(軍紀)가 정립되고 기개가 넘쳤다. 군대 해산의 소식이 전해지자, 1907년 8월2일경 강화 전등사(傳燈寺)에는 강화진위대·강화분견대 전·현직 간부들이 비밀리 모여 일본군이 군대를 해산시키고자 온다면 맞서 싸우겠다는 의지를 다졌다.강화분견대 해산 예정일인 8월11일보다 이틀 앞인 9일, 참교 유명규(劉明 문화 | 인천일보 | 2020-02-10 00:05 처음처음이전이전123끝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