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치(協治)는 힘을 합쳐 잘 다스려 나간다는 의미다. 무언가를 결정하기에 앞서 협의와 공감대 조성을 선행하겠다는 말이다. 국민들이 직접 행정에 참여한다는 뜻도 담겼다. 여야가 서로 조금씩 양보하고 협력해 주요 현안을 잘 처리하는 게 협치다. 일종의 통치 방식을 일컫는데, 국민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끌어 나가야 제대로 된 협치를 할 수 있다는 얘기다.

박남춘 인천시장 당선인이 "시민이 반응하지 않는 시정은 철저히 지양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시민 개개인의 아픔과 애로사항을 챙겨 시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시 내부에 만들겠다고 한다. 각계 각층이 인천시 주요 정책 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협치 시스템'을 구축하고 정책 추진 과정에서 정확한 통계에 기반을 두겠다고 그는 강조했다. 인천시 실·국장과 산하 기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인수위원회(새로운 인천 준비위원회) 첫 업무보고를 주재하면서 그는 이런 사항들을 주문했다. 모든 인천시 정책을 홀로 결정하기보다는 여러 분야 사람들이 모여 의논하고 결정하겠다고도 했다. 이런 시스템을 갖춘다면야 더할 나위 없이 좋겠다. 시민들이 바라고 꿈꾸는 정책이다. 권력은 겸손하고 정의로울 때 바로 서고 행할 수 있지 않겠는가. 말로만이 아니라 사안별로 정책에 반영되고 투영된다면 좀 더 나은 시정을 펼 수 있겠다. 하지만 일마다 실질적으로 삶의 현장에서 이뤄지느냐가 문제다. 만날 책상에만 앉아 일을 처리하다 보니, 시민들이 피부에 와 닿는 '체감 시정'을 벌이지 못한다는 말이다. 진정으로 협치를 하려면 그런 잘못된 관행부터 깨야 한다. 결정된 사안이 정말 현장에서 잘 반영되고 있는지, 시민들은 이에 대해 어떻게 반응을 하는지 등을 꼼꼼하게 살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갖가지 정책이 '공염불'로 남을 수밖에 없다.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시정 구현이 박 당선인의 주요 시정 철학인 만큼, 논의 과정에서부터 진솔한 이야기가 오갔으면 한다. 상의 없이 시장이 '독단적'으로 시정을 펴다간 각종 정책이 효과를 거두기는커녕 악영향만 끼칠 터이다. 박 당선인의 시정이 앞으로 4년간 인천을 더욱 빛내주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