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섬들에 대한 재평가와 구체적인 연구가 시급하다. 특히 천혜의 조건을 갖춘 인천 앞바다의 섬을 제대로 보고 활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데에는 이의가 없다. 문제는 섬과 관련된 각종 정책과 행정적 뒷받침이 뒤따르지 못한다는 데 있다. 섬에 대한 가치가 평가절하되고 있는 셈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섬 전담 연구기관'을 설립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섬 활용도를 높이면서 섬 관련 정책 수요 증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자는 차원에서 제기됐다.

섬은 해양 권익 보호라는 측면에서도 아주 중요하다. 지정학적으로도 매우 필요하다. 해양생태와 해양관광 등 바다를 이용하는 거점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섬에 대한 가치를 높이는 방안은 정부나 지자체에서 꼭 세워야 할 일이다. 무엇보다 해양 영토 관점에서 도서 위치와 지형 등을 두루 살펴 얼마나 '국가 이익'으로 전환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하지만 현재 이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체계적인 검토·조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문제다. KMI에 따르면 국내엔 무인도서와 유인도서를 합쳐 모두 3348개의 섬이 있는데, 이들 섬은 육지와 고립돼 생태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는다. 여기에 다양한 역사와 문화적 스토리도 지녀 관광자원으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그래서 요즘에는 섬을 찾는 관광객도 꾸준히 늘고 있다. 그럼에도 정작 섬 주민들의 생활 여건은 열악해지고 있다. 유인도서의 경우 인구가 점점 줄어들면서 무인도로 진행하는 속도가 빨라진다고 한다. '관리 사각지대'로 남을 수밖에 없는 이유다.

섬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섬을 조사·연구하고 그 가치를 증진할 수 있는 대책을 하루빨리 마련해야 한다. 중국만 하더라도 국가해양국 산하에 '해도연구센터'를 설립해 섬 개발과 보호 등 섬 관련 연구와 기술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육지 개발에는 한계가 있어 이제는 바다와 섬들에 대해 눈을 돌리는 것이다. 섬의 활용도를 놓고 볼 때, 사람들이 살거나 이용하기에 좋은 조건을 갖추려는 취지에서다. 우리나라에서도 섬에 대한 실질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상황을 면밀히 살필 수 있는 전담 연구기관 설립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