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여성정치인들의 눈부신 활약이 주목을 받고 있다. 기초의회건 광역의회건 열혈 여성 정치인들의 지방의회 입문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이번 선거에서 여성 당선자의 비약적 증가는 풀뿌리 정치에서 진정한 '여성시대'를 열었다는 평까지 받고 있다. 신선한 충격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출마자중 경기도내에서는 176명 여성들이 기초의회에 진출했다. 이는 도내 기초의회에 입성하는 총 446명 중 39.4%에 달하는 것이다. 경기도의회에도 총 142명 중 32명의 여성당선인이 입성했다. 게다가 안양과 용인 등 도내 8개 시·군 의회에서는 여성의원이 전체 의석의 과반 이상을 차지했다고 한다. 사상 최고로 많은 여성 지방의원이 탄생한 것이다. 지난 1995년 치러졌던 제1회 지방선거에서는 도내 기초의회 여성의원은 전체 599명 중 15명에 불과했다. 당시는 여성들이 지방정치에 대한 관심이 적었다. 또 정치는 남성들의 전유물로 여겼던 사회적 분위기도 한 몫을 했다. 이 때문에 제1회~제3회까지 기초의회 여성당선인은 한자리수를 벗어나지 못했다고 한다. 하지만 제5회 지방선거때 총 417명 중 113명, 제6회 지방선거 총 431명 중 135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여성들의 급격한 지방의회 진출 러시는 지방자치의 대변혁을 예고하고 있다. 지방자치가 정파적 다툼으로 얼룩졌던 과거와 달리 진정한 풀뿌리 정치가 예상된다.

여성들의 지방정치 진출이 급증한 것은 사회활동의 다양화를 주요인으로 꼽을 수 있겠다. 여성들이 단순 사회활동에서 벗어나 정치에도 적극 참여하게 된 것이다.

여성 당선인 대다수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대개 생활 밀착형 공약을 내세웠다는 점이다. 도서관 건립이나 동네 복지 관련 공약 등이 그것이다. 남성들에게 건설 관련 공약이 많은 반면 여성들은 복지와 환경, 교육 등을 강조한 것이 유권자들의 마음을 얻었다고 본다. 지방자치는 곧 생활정치라는 공식을 입증한 것이다. 여성정치인들의 지방정치 당선률이 높아진 것은 크게 환영할 일이다. 하지만 그만한 명예만큼 책임과 의무도 뒤따른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