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지방선거 투표결과는 그 어느 때보다 많은 과제를 던져준다. 야당에 대한 심판과 그 결과는 새로운 정치 환경과 마주서게 했다. 한 마디로 지금 우리는 '매우 위험한 상황'에 처했다.
광역과 기초를 아울러 전국적으로 더 많은 지혜와 기술을 요하는 상황이 연출된다. 경기도를 보자. 128대1로 도의회는 아예 더불어민주당 판이다. 자유한국당은 1석을 건지는 데 머물렀다. 비례대표 13석도 더불어민주당 7석, 자유한국당 3석, 정의당 2석, 바른미래당 1석으로 나뉘었다. 야당을 모두 합해도 6석으로, 12석 기준의 교섭단체조차 꾸릴 수 없는 형편이다. 지금부터는 야당 없는 도정을, 비판과 견제 세력 없는 상황에서 도정을 꾸려가야 한다.

지난 6대 때와는 비교도 안 되는 상황이다. 당시는 여소야대 상황이었고, 이런 정치적 구도는 결국 연정이란 실험적 구도를 만들어 내기에 이르렀다.
사람에 따라 평가가 다를 수 있으나 여소야대 국면을 꼭 좋은 구도라 평가하기는 어렵다. 그것은 그것대로 다른 어려움과 한계를 자초했다. 이재명 도지사 당선인이 경험했던 성남시의 사례가 꼭 그랬다. 시의회 반대로 시장의 핵심정책이었던 무상복지 등 어느 것 하나 제대로 실천하기 어려웠다. 반대를 위한 반대, 정략적 반대 속에서 수시로 좌초를 겪었다. 얼핏 보기에 그보다는 집행부 정치철학에 맞는 정책을 펼쳐가기에 훨씬 유리한 환경이 조성됐다고 평가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이런 태도 역시 위험하기는 마찬가지다. 이 세상에 완벽한 사람이나 정책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다른 시각과 관점으로 바라보고 비판할 수 있는 세력은 반드시 필요하다. 의회의 비판과 견제를 통해 집행부는 다시 중심을 잡게 마련이다. 물론 언론이나 시민단체 견제가 있지만 의회의 기능을 대신하기는 어렵다.

역시 문제는 의회다. 의회 기능을 훨씬 강화하는 것도 방법일 수 있지만 법령과 제도개선의 문제가 따른다. 그렇다면 남은 문제는 도의회가 의회 기능에 더욱 충실히 임하는 것밖에 없다. 아직 개원조차 하지 않은 제7대 지방의회에 부여된 역할과 책임이 어느 때보다도 무겁게 느껴지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