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고 맡길 수 있는 후보는 누구인가. 6·13 지방선거 날이 밝았다. 이번 선거에선 내 지역 살림을 꾸려나가고 이를 감시할 '일꾼'을 뽑는다. 투표 참여는 민주시민으로서 책임을 다하는 자세이다. 시·도 교육감 선거도 함께 치러진다. 교육감은 교육부의 권한과 정책을 위임받아 집행하면서 교육현장에 끼치는 영향력에서 막대하다. 교원 인사 권한을 갖고, 학생을 가르치고 평가하는 현장교육 방식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자리다. 우리 사회의 미래를 짊어질 아이들을 위한 어른들의 책임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다. 하지만 유권자들의 저조한 관심이 걱정스럽다. 전국에서 모두 4016명의 지역 일꾼을 뽑고 12곳에선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를 함께 치르는 선거지만, 북미정상회담과 월드컵 축구 등 다른 '이슈'에 매몰되는 느낌이다. 심각한 무관심 속에 지방선거를 실시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는 이 때문에 나온다.

각종 선거 때마다 전국 최하위권 투표율을 기록한 인천이 이번 6·13 지방선거에선 이를 탈피할지도 관심을 끈다. 최근 10여 년간 지방선거, 총선, 대통령 선거 등 9차례 선거에서 인천의 투표율은 전국 바닥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인천은 2006년 4회 지방선거에서 44.3%, 2007년 17대 대선에서 60.3%, 2012년 19대 총선에서 51.4%의 투표율로 전국 시·도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다른 선거에서도 인천의 투표율은 전국 17개 시·도 중 13위가 최고일 정도로 하위권을 맴돌았다. 인천의 투표율이 저조한 이유는 전체 유권자 중 인천 토박이 비율이 낮고 다른 지역에서 유입된 인구 비중이 높은 탓이라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꼽지만, 내가 사는 곳의 일꾼을 뽑는 선거에서만큼은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그래야 내 지방의 살림살이를 믿고 맡길 수 있지 않겠는가.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이라고 했다. 모든 선거운동이 끝나고 후보들은 결과를 기다려야 한다. 유권자들은 이제 올바른 투표를 통해 바람직한 내 고장의 일꾼을 뽑아야 한다. '깜깜이 선거'나 '묻지마식 투표'를 해서는 풀뿌리 민주주의를 기대히기 어렵다. 내 한표에 내 지역을 살릴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빠짐없이 투표에 참여하자. 투표는 '민주사회'를 앞당기는 소중한 권리이자 책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