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술지원센터 계획에 한발 늦어 '뒤쫓기'
자금조직 산업도 '제자리'
'글로벌 녹색기후도시'로 나아가려던 인천시가 국가 정책에 발맞추지 못한 채 '우물 안 개구리' 신세에 머물고 있다.

정부가 내놓은 중장기 계획을 따라가는 데 급급하고, 녹색기후기금(GCF) 연관산업도 속도를 내지 못하는 모습이다.

인천시는 유엔 산하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 아시아·태평양 지역사무소 유치에 나설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CTCN은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라 개발도상국 기후 기술을 지원하는 기구다.

기후 변화 대응은 크게 기술, 자금 분야로 나뉜다.

지난 2013년 송도국제도시에 둥지를 튼 GCF가 자금 조직이라면 CTCN은 기술 지원을 맡는다.

GCF와 CTCN을 동시에 품으면 기후산업에서 시너지를 노릴 수 있다고 시는 설명한다.

하지만 CTCN에 대한 관심은 한발 늦은 감이 있다.

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23일 배포한 '기후기술협력 중장기 계획(2018~2020)' 보도자료를 통해 CTCN을 중심으로 한 국가 정책을 파악했다.

시 관계자는 "기후산업이 정부 부처별로 나뉘어 있고, 주로 산업통상자원부·기획재정부와 협의해왔다"며 "과기정통부 쪽에 인천이 참여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알아보고 있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에 CTCN 지역사무소 유치로 국제 기후기술 협력 체계를 만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인천에 있는 GCF를 통해 기후기술 사업도 지원하기로 했다.

그동안 과기정통부와 기후산업에 대한 정책 교류가 없던 시가 뒤늦게 대응하고 있는 셈이다.

GCF 사무국이 문을 연 지 5년이 가까워지도록 시는 기후산업 성장 기반도 갖추지 못하고 있다.

GCF 연관 기업·연구소를 집적화해서 송도를 기후산업 중심지로 키우려는 '글로벌 그린경제 콤플렉스' 건립은 정부 협조를 얻지 못해 수년째 구상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지난해 11월부터 산업부와 진행한 연구용역이 이달 말 마무리되지만 학술조사 수준에 불과하다.

'인천 8대 전략산업'의 하나로 내세운 녹색기후금융산업의 추진 실적도 미미하다.

GCF 연관산업 집적화 정도를 제외하면 전략산업 계획은 '정부 정책과 시장 동향 파악', '기후산업 홍보', '기후아카데미 활성화' 등 주변적 활동에 그친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정책 개발에 치중한 측면이 있었다.

GCF 연관산업 연구용역 결과가 나오면 타당성 조사 등 본격 절차에 착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