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최고위층 집단 무덤'으로 추정
하남시 감일동에서 한성백제판 '국립현충원'으로 추정되는 최고위층 석실묘 50여기가 발굴됐다.

22일 하남시와 하남역사박물관에 따르면 고려문화재연구원이 발굴조사 중인 감일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 부지에서 4세기 중반~5세기 초반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횡혈식 석실분(石室墳·굴식 돌방무덤) 50여기가 발굴됐다.

발굴 지역은 백제의 한성 도읍기 도성으로 추정되는 서울 송파구의 몽촌토성, 풍납토성에 서 2,3㎞ 이내에 위치한다. 석실분은 일반인이 아닌 귀족층의 무덤 형태로, 방이동 고분군에서 1∼2기가 나오는 등 70여기가 전국에 산재한 것으로 확인이 됐다. 석실분이 이렇게 한 곳에서 집중적으로 나온 것은 처음이다.

발굴된 석실분은 경사진 면에 땅을 파서 직사각형 묘광(무덤 구덩이)을 만들고 바닥을 다진 뒤 길쭉하고 평평한 돌을 차곡차곡 쌓아올린 구조다. 묘광은 세로 330~670㎝, 가로 230~420㎝이고, 석실은 세로 240~300㎝, 가로 170~220㎝다.

문재범 하남역사박물관장은 "왕실을 비롯한 최고위층의 집단무덤으로 보인다"면서 "백제가 도성을 만들면서 최고위층과 유공자를 묻기 위해 마련한 장소, 현대로 치면 '백제판 국립현충원'으로 봐도 될 거 같다"고 말했다. 이어 "일부 무덤은 석실을 열어 재사용한 흔적이 있어 부부 등 가족묘 개념으로도 운영이 된 거 같다"고 덧붙였다.

부장품으로는 중국과의 활발한 교류를 보여주는 청자 계수호(鷄首壺·닭 머리가 달린 항아리)와 부뚜막형 토기 2점이 나와 눈길을 끈다. 청자는 당시 중국에서만 만들 수 있었고, 부뚜막형 토기를 묻는 풍습도 중국에서 있었다. 특히 부뚜막형 토기에는 망자가 저승에서도 따뜻하게 지내기를 바라는 염원이 담겼다. 이런 부장품은 무덤 주인이 백제에서 고위직을 지낸 중국인이거나 글로벌화한 백제인인 가능성 등 국제화된 백제사회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이 된다.

한편 시는 석실분 28기가 밀집한 지역을 역사공원으로 조성하기로 결정했다. 공원 한편에는 이전·복원할 석실분 15기와 유물을 전시할 박물관이 들어선다.

/하남=장은기 기자 50eunki@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