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7 남북정상회담 앞두고 지방정부 대북사업 모델
4·27 남북정상회담에서 역사적 결정 가능성이 제기되며 십 수년 전부터 대북사업에서 활로를 찾은 인천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대북사업이 조명되고 있다. 인천의 경험이 지방정부의 대북사업 모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통일준비 선도 도시 인천' 추진계획을 준비 중이라고 19일 밝혔다.

올 초 평창동계올림픽을 시작으로 남북 관계가 급물살을 타며 그동안 대북사업에 소극적이던 인천에도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여기에 통일부가 올 하반기 개소를 목표로 인천에 통일센터를 짓겠다고 발표하며 인천의 남북관계 사업에 돛을 달게 됐다.

시는 지난달 통일부에 서해 남북평화 연도교 구축 사업과 강화교동 평화산업단지 조성 등을 건의했다.

남북평화 연도교 구축 사업은 민선4기 때인 지난 2010년 기공식이 열렸지만 사업이 멈춘 상태고, 강화교동 평화산업단지는 민선5기 대북사업의 한 축이다. 시는 이 두 사업 추진은 물론 현재 16억원 밖에 남지 않은 남북교류기금을 향후 5년간 100억원까지 늘린다는 방침이다.

통일 도시 인천의 밑그림은 그동안 인천에서 벌인 대북사업에서 뿌리를 찾을 수 있다.

지난 2004년 인천에서는 '6·15발표 4돌 기념 우리민족대회'가 열렸다. 북측 100여명 등 남과 북, 해외에서 모두 600여명이 참여해 인천 곳곳에서 통일 관련된 행사가 열리며 인천은 물론 전국에서 큰 관심을 받았다.
해외에서도 인천의 대북사업 가능성을 타진했다.

이 행사는 민간에서 추진됐지만, 인천시도 조직위원회의 지원을 위해 공무원과 재정을 지원했다. 이어 인천에서 개최된 2006년 아시아육상선수권대회에 북측 선수는 물론 응원단이 인천을 찾았다. 아시아육상선수권대회를 통해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의 북측 참가와 폐막식 때 북측 고위급 인사가 파견될 수 있었다.

여기에 인천유나이티드 프로축구단과 평양 4·25축구단의 연례 축구 경기는 남북 상황에 따라 행사 운명이 엇갈렸고, 인천아시아경기대회 후 양궁 장비 지원을 비롯해 중국 단둥에 남측의 기술력과 북측의 노동력이 결합된 축구화공장이 운영됐다.

이밖에 인도적 사업인 말라리아 예방·치료 사업도 남북 관계에 따라 운명이 갈렸다.

시는 올해 고려개국 1100주년을 기념해 강화·개성 역사 학술교류를 준비 중이다.

한편 우리겨레하나되기 인천운동본부는 남북정상회담 환영 거리 현수막 걸기 운동에 나섰다.

/이주영 기 leejy96@incheoni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