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제38회 장애인의 날이다. 1972년 민간단체에서 주관하던 '재활의 날'을 1981년부터 국가에서 '장애인의 날'로 정하고 기념행사를 열기 시작했다. 1981년 UN총회에서 '장애인의 완전한 참여와 평등'을 주제로 '세계 장애인의 해'를 선포한 일과 궤를 같이 한다. 정부는 이날을 전후해 '장애인 주간'으로 정해 각종 행사를 벌인다. 하지만 곳곳에서 개최되는 행사는 1회성에 그치기 십상이다. 정말 장애인들을 위한 행사라기보다는 보여주기식이라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는다. 사회적 편견과 정책 등으로 장애인들이 '홀로 서기'에는 어려움이 많기 때문이다. 장애인들의 자립과 자존심 등을 지켜줄 수 있는 우리 사회의 인식개선이 절박한 상황이다.

인천만 해도 장애인들은 푸대접을 받기 일쑤다. 직업재활·보호시설이 태부족한 데다 입소 평가기준도 '경증' 중심이다 보니 갈 곳이 마땅치 않다. 낮시간에는 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해 사회에서 고립되기 마련이다. 성인 발달장애인(지적·자폐성장애)의 경우 대부분 경제활동을 하지 못한다. 직업이 없는 이들은 복지관과 주간보호센터를 찾을 수밖에 없다. 이마저 대기 신청 후 길게는 1년여를 기다려야 한다. 인천지역 발달장애인은 1만2200여 명으로, 이중 성인이 8260여명(68%)에 달한다. 특수학교나 일반학교 등을 졸업한 이들은 갈 곳이 별로 없다. 인천시내에 직업재활시설, 장애인복지관, 주간보호시설은 66곳에 불과하다. 시설 수용 인원은 평균 20여 명으로, 지난해 7월 남동구에 개소한 발달장애인 전용 주간보호시설의 경우 1년도 채 되지 않아 정원이 찼을 정도다.

물론 장애를 딛고 일어나 각계에서 활발하게 움직이는 이들도 있다. 하계·동계올림픽이 끝난 후 패럴림픽을 여는 것도 장애인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심어주기 위함이다. 선진국에선 장애인들에게 최우선권을 준다. 모든 건물에 장애인들이 드나들기 편하게 설계할 뿐만 아니라 건강권과 의료선택권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장애인들도 사회에서 함께 가야 할 '동반자'로 인식하고 있는 까닭이다. 우리도 하루빨리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 소통하며 공감할 수 있도록 정책을 대폭 전환해야 한다. 그래야 장애인들의 참여와 활동을 보장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국가는 모든 국민이 최상의 선택을 할 수 있게끔 법과 제도를 정비해야 할 의무를 갖고 있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