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철이면 쏟아져 나오는 게 거품공약이다. 우선 시민들의 환심을 사 당선되는게 당장의 목표이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가 전국 시·도지사 공약 평가 자료를 내놨다. 공약 이행을 위한 재정확보 수준을 보면, 인천시의 경우 44.98%에 그쳤다. 강원도와 전북 다음으로 낮은 수준이라고 한다. 애초부터 공약의 몸집이 너무 커 시 재정이 감당못할 수준이었다는 말이다. 물론 민선6기 때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선거가 거듭될 수록 그 거품이 부풀어 오르는 추세다. 이제부터라도 그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

민선6기 인천시 정부는 공약 이행 실적에 대해 총 128개 공약 중 20건이 완료됐다고 자체 평가한 바 있다. 나머지는 '계속 추진' 40건, '정상추진' 59건 등이었다. 그러나 매니페스토실천본부의 평가에 따르면 실제 사업에 필요한 재원은 절반도 마련하지 못했던 것이다. 지난 4년간 이들 공약을 추진하기 위해 인천시가 확보한 재정은 15조7907억원이다. 실제로 투입된 돈은 10조4128억원에 머무른다. 당초 이들 사업에 필요한 돈은 총 35조1026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됐다. 굵직한 공약 상당수는 대규모 개발·건설 사업이었다. 경인고속도로 지하화(8488억원), 강화조력발전소 건설(1조3000억원)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들 공약은 여전히 논의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4년마다 공약 거품이 꺼지는 모습은 낯설지 않다. 민선5기 때도 루원시티, 송도 노면전차 도입, 시립미술관 건립 등의 공약이 임기 내내 뒤로 밀렸다.

두달여 앞으로 다가온 6·13 지방선거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자유한국당 후보로 나설 유정복 시장은 향후 5년간 3조원을 투입하는 원도심 부흥 프로젝트를 내걸었다.
더불어 민주당 예비후보들에서도 서울지하철 2호선 인천 연장, 서울지하철 5호선 검단 연장, 인천도시철도 3호선 건설 약속 등이 나오고 있다. 문제는 돈이다. 실질적인 효과와 실현 가능성이 담보되지 않는 공약은 자원배분을 왜곡시켜 시민 삶을 힘들게 할 뿐이다. 유권자들의 냉철한 분석과 판단력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