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종환 삼산경찰서 경장
경찰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수는 2012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2016년에는 4292명이 생명을 잃었고 2017년에는 4185명이 생명을 잃었다. 2016년 대비 107명 2.5% 감소했으나 보행 중 사망자는 1675명으로 보행자 사망이 차지하는 비율이 40%대에 이르렀다. 2015년 기준 OECD 보행자 사망률 19.2%와 비교하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인구10만명당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수도 OECE 회원국 평균이 1.1명인 반면 대한민국은 3.5명으로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국토교통부와 경찰청에서는 사람이 우선인 보행자 중심의 교통 환경을 목적으로 보도 차도가 분리된 왕복 2차로 이상 도로는 50㎞/h, 생활도로나 어린이 보호구역 등 특별보호 요구지역은 30㎞/h로 제한속도를 하향해 교통약자 및 보행자 보호와 교통사망사고를 감소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현재 일부 지자체에서 시행 중이고 전국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삼성교통전문화연구소에 따르면 운전제한속도를 50㎞/h로 낮추면 사망자 수가 무려 44.6%로 줄어든다고 한다. 선진국들을 보면 미국은 40~64㎞/h, 영국48㎞/h, 프랑스 덴마크 스페인 50㎞/h 차량 제한속도를 규정해 자동차보다는 사람이 우선인 교통문화를 보여 주고 있다. 또한 국토부 연구에 따르면 도심에서 차량 제한속도를 줄이면 교통사망사고가 8~24% 줄어든다. 독일의 경우 60㎞/h에서 50㎞/h로 제한속도를 조정한 뒤 사망자 수가 20~4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속도를 제한하는 것보다 보행자를 우선하는 운전자들의 운전습관 변화가 더 중요하다. 선진국을 가보면 보행자를 향한 차량 경적소리를 들을 수 없고, 보행자가 있든 없든 녹색불이 켜지거나 신호가 없는 횡단보도에서도 무조건 정지를 하고 있다.

혹자는 도심에서 무조건적인 신호의 준수는 차량 정체를 유발하고, 바쁜 사람들에게는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사람의 생명과 안전보다 중요한 것은 있을 수 없다.
사람이 먼저인 보행자 중심의 새로운 교통문화가 정착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