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지방선거에서 남북교류사업이 인천시장 선거 후보들의 주요 공약으로 떠오른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중앙집권 영향으로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남북교류협력을 추진하려는 능동적인 움직임도 미흡했다. 그러나 이번 6·13지방선거에 나설 시장 후보들은 공통적으로 '통일'과 '평화'를 앞세운 인천의 대북 교류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남북 화해 무드가 조성되고 정부의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구축 과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되는 분위기에 따라 인천은 남북교류의 전진 도시로 부상하게 됐다. 그동안 북미관계의 악화, 개성공단의 폐쇄 등 한반도의 냉전 기류는 개선될 틈이 보이지 않는 가운데 지자체의 남북교류협력사업은 침체되어 왔다. 하지만 인천은 접경지역을 두고 있으며, 서해 남북한 충돌의 현장에 있어온 만큼 위기가 기회로 반전될 가능성이 가장 큰 도시임에 분명하다.

자유한국당 인천시장 후보로 공천된 유정복 현 시장은 '강화 교동평화산업단지 조성, 남북교류기금 확충' 등을 발표했다. 사실상 정의당 인천시장 후보인 김응호 예비후보는 '서해5도 주민 해양주권 확보' 등을 선언했다. 더불어민주당 김교흥·박남춘·홍미영 인천시장 경선후보들도 중복되는 부분은 있으나 나름대로 대북 정책을 제시했다. 여성으로서 처음으로 광역단체장에 도전하는 홍미영 예비후보는 '남북문화교류재단 설립' 등을 발표했다. 박남춘 국회의원은 '백령공항 건설 등 교통·경제·문화예술 평화의 시대'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김교흥 예비후보는 '서해평화대교' 건설 정책을 발표하고 백령도 방문 등을 이어가고 있다.
인천이 남북교류의 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우선 지자체의 자체 역량을 점검하고, 중앙정부와의 긴밀한 협조와 지원체계를 갖춰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인천시장 후보들이 강조하는 대북정책은 민족의 화해와 통일, 남북한 공존·공영에 이바지할 시대적 소명으로서 추진돼야 할 과제들이다. 장기적으로는 막대한 통일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이제 까다로운 민간기업·단체의 대북교류 장벽을 좀 더 낮춰 지자체 차원의 남북한 민간교류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