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져 가는 자연환경 '절체절명 위기'
대부도가 '개발'과 '자연' 사이에서 아슬아슬 외줄을 타고 있다.

지난 수년간 섬 이곳저곳이 개발논리에 제압당한 채 잘려나가고 파헤쳐지면서, 숲·바다·갯벌을 바라볼 수 있던 풍경은 급속히 사라져가고 있다.

대부도는 육지가 된 섬이지만, 해양환경·염습지·산림 등 빼어난 자연경관으로 경기지역 내 얼마 남지 않은 '보존해야할 섬'으로 우선 꼽힌다.

특히 대부도 갯벌은 미생물, 크고 작은 어종, 갑각류, 갯지렁이, 연체동물 등의 서식지였으나 본래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다.

안산시가 내부적으로 조사한 '녹지지역 개발행위 허가 통계'에 따르면 대부도 자연녹지지역 내 개발은 2007년 55건에서 최근 2년 사이 200건으로 급증했다.

녹지지역은 자연환경·경관, 희귀·멸종위기 야생 동·식물의 보호가 필요해 지정된 곳이다.

생산녹지지역의 경우 상황이 더 처참하다.

2007년 4건을 상회하던 개발은 현재 120~160건에 육박한다. 지난 10년 간 평균 개발 증가율(개발허가 건수)로 보면, 무려 46.5%로 치솟았다. 이는 자연녹지지역 대비 3배 이상 높은 수치다.

개발 추세가 생산녹지지역에 번진 것은 '폐염전' 일대가 '신(新)개발지'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2016년 생산녹지지역 총 개발 면적 7만1097㎡ 가운데 89.6%(6만3362㎡)에 달하는 개발이 폐염전 부지에서 이뤄졌다. 2007~2013년 당시만 해도 폐염전 개발건수는 '0건'에 가까울 정도로 보전도가 높았다. 그러나 2014년 들어 6건, 2015년 35건으로 개발이 차츰 발생하더니 2016년 112건으로 급증했다.

폐염전은 산림이 없어 자연보전 가치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다른 용도의 땅보다 적은 편이다.

게다가 수많은 개인소유자들이 땅을 조각조각 나눠 갖고 있는 형태여서 다른 토지에 비해 시의 관리망에서 벗어나기 십상이다.

개발업자들이 돈으로 소유자만 유혹하면 즉시 개발에 나설 수 있는 셈이다. 업자들은 주로 전원주택이나 펜션 분양을 통해 수익을 얻고 있다.

이에 따라 자연환경은 절체절명(絶體絶命)의 위기를 맞고 있다. 그만큼 자연 관광지로서의 입지도 좁아지고 있다.

아예 펜션 등 업체가 자연자원을 자신 소유인 마냥 쓰는 일도 부지기수다. 대부도의 한 식당 주인은 "근처 펜션에서 자신의 땅 주변이라는 이유로 산림과 갯벌에 마음대로 오수 및 쓰레기를 버린다"며 "손님을 끌기 위해 갯벌을 체험터로 쓰는 일도 많다"고 불만을 표출했다.

안산시 관계자는 "예상하지 못한 난개발 문제로 대부도 전체가 난리통"이라며 "시에서 다양한 대책을 고민하고 있지만,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직접 개입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현우·이경훈 기자 kimhw@incheonilbo.com


관련기사
난개발에 신음하는 대부도 … 투기·투자 '개발 광풍'…아담한 어촌 초토화 글 싣는 순서 1 신음하는 자연, 대부도 2 개발vs보전 끝없는 논란 3 난개발 치유의 열쇠, '상생(相生)' 지난 18일 오전 11시쯤 찾은 안산시 단원구 대부남동은 펜션 단지 조성 등 대규모 개발공사가 한창이다. 개발을 위해 굴착기가 산을 볼썽사납게 파헤친 탓에 울창했던 숲이 맨살을 드러냈다. 공사장 한편에는 반 토막 난 거목들이 초라한 모습으로 널브러져 있다. 고요했던 대부도는 굉음을 토해내는 기계음으로 뒤덮였다. 가득했던 바닷바람 대신 공사장 흙을 퍼 나르는 덤프트럭이 장사진을 이루면서 매캐한 흙먼지 냄새도 진동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