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정부에 대해 영흥화력 1·2호기의 가동 중지 또는 탄력적 가동을 요청할 것이라고 한다. 영흥화력이 인천지역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확인된 데 따른 것이다. 수도권 미세먼지 저감대책으로 제시된 차량2부제도 영흥화력 문제가 선결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미세먼지 공해는 갈수록 그 피해가 확대되고 있다. 시민들의 일상적인 활동마저 제약받을 정도에 이르렀다. 중국발 황사는 계절을 가려 피해를 끼치지만 미세먼지는 시도 때도 없이 경보가 발령된다. 그런데 그 주범이 수도권 주민들이 쓸 전기를 생산하는 영흥화전이라니. 인천시민들의 건강이 그 인질이 된 셈이다. 영흥화전의 대기오염에 대한 근본적 대책이 시급하다.

한국남동발전의 영흥화력 1·2호기는 2004년 건설됐다. 그 이후 조성된 3∼6기에 비해 오염저감시설이 부족해 대기오염배출량 기준도 낮게 책정돼 있다. 인천시 조사에 따르면 영흥화력 1·2호기(시설용량 1600㎿)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심각하다. 2016년 영흥화력 1·2호기 오염원별 배출량은 황산화물(SOx) 303만9879㎏/년, 질소산화물(NOx) 186만4156㎏/년, PM2.5 11만9520㎏/년 등이다. 같은 기간 영흥화력 1~6호기 전체의 오염원별 배출량은 황산화물(SOx) 571만1414㎏/년, 질소산화물(NOx) 400만9251㎏/년, PM2.5 20만2403㎏/년으로 나타났다. 영흥화력 1~6호기 전체 배출량 중 1·2호기의 오염원별 배출량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1·2호기 배출량이 나머지 3~6호기의 7배에 달했다. 황산화물(SOx)의 경우, 영흥화력 배출량이 차량2부제 시행에 따른 배출량보다 1900배나 더 많았다.

인천의 경우 영흥화력이 빠진 미세먼지 대책은 공염불에 지나지 않는다는 의미다. 차량2부제 시행보다는 영흥화력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특히 친환경 발전과는 거리가 먼 1·2호기의 가동은 인천의 미세먼지 대책과 반드시 연동되어야 한다. 정부는 인천시민들의 이같은 요구에 부응해야 한다. 탈원전이나 친환경 발전도 좋지만 '사람이 먼저'라는 이 정부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