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생활문화 사업과 육성을 위해 소통과 참여, 공유를 기반으로 한 정책방향이 구축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0일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경기도 생활문화 지원 및 육성 정책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내 생활문화센터 10개소 이용자 5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른 모임과 함께 해본 경험이 없는 경우는 33.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49.2%는 교류활동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교류가 필요한 분야로는 '전시회, 공연, 축제 등의 개최(39.2%)', '참여자 간 교감, 소통, 공감 및 친목(38.9%)', '전문성 향상, 정보 공유, 홍보 등을 위한 네트워크(37.5%)'가 높게 나타나 생활문화 네트워크 환경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연구원은 생활문화가 '예술분야'에 치중하고 있는 점도 지적했다.

연구원이 도내 31개 시·군 생활문화 지원 사업을 살펴본 결과 61.8%가 '예술'을 26.7%가 '문화예술'을 지원범위로 제시했다. 설문조사에서도 '예술분야'를 생활문화 장르로 인식하는 경우가 43.4%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생활문화 정책방향으로 생활예술과 전문예술의 구별, 과정 중시 정책평가 도입, 상향식 정책 방향 수립, 생활문화 관련 도민의 참여,소통, 체험 등을 지원하는 온·오프라인 플랫 폼 '(가칭)GATO(Gyeonggi-do Art Tour)' 구축·운영 방안 마련, 전문가 양성 및 생활문화 지표 고도화를 제안했다.

김성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생활문화의 진흥은 곧 지역문화 진흥으로 주민의 삶의 질 제고와 문화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기제로 작동할 수 있다"며 "경기도는 생활문화 지원 및 육성을 위해 '생활예술'과 '예술 외 생활문화'로 구별해 정책방향을 설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중래 기자 jlcomet@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