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운 인천YMCA 회장
``````````````````````````2.png
지난해 말 국토교통부는 항공정비(MRO)사업계획평가위원회에서 심의 의결한대로 정부 지원 항공MRO사업자로 한국항공우주산업㈜(KAI)를 선정했다. 항공정비산업은 제조가 아닌 서비스산업이다. 수요가 많은 지역에 설치되는 것이 자연스럽다. 최근 민간 항공기의 정비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앞으로는 더욱 늘어날 것이다. 세계 최고의 시설과 인프라를 자랑하고 있는 인천국제공항이 급증하는 승객과 항공편에 비례하는 정비 수요를 감당해내지 못하고 있다. 자칫 그동안 쌓아온 인천공항의 명성에 금이 가지 않을까 걱정된다. 항공기 정비로 인한 결항률, 지연율 등이 높아지고 이용객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되지 않을까 염려가 된다는 말이다.

인천공항은 현재 1일 1000회 이상의 항공기가 운항되고 있지만 제2여객터미널이 개장하면 정비 불량으로 인한 결항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에 항공기 운항안전을 위한 '근거리 정비서비스' 체계 구축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국토부는 사천에 KAI를 선정한 데 이어 역할 분담 차원에서 인천공항에 '민수(民需)분야 중심의 항공정비산업단지'를 정부지원특화단지로 지정해야 한다.

군수는 사천에, 민수는 인천에 둔다는 것은 기능에 따른 역할 분담과 국토 균형발전이라는 명분에도 부합된다. 그러나 균형발전보다 더 중요한 것은 안전이다. 정비 불량으로 인한 인천공항 출발 편 결항률이 2010년 3.9%에서 2016년 2/4분기 23.5%로 급증했다. 항공정비는 승객의 안전·생명과 직결된 문제이다. 대형사고가 발생한다면 상상할 수 없는 국가적 피해는 물론 국가신인도 하락을 불러올 수 있다. 그 어떤 것보다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이 안전이며 신속히 대책을 마련해야 할 부분이다.

곧 개장하는 제2여객터미널에 이어 4단계 사업을 준비하고 있는 인천공항에는 항공기 운항횟수가 점점 더 늘어날 것이다. '근거리 정비서비스' 체계를 구축해야 하는 것은 아주 당연하다. 국내에 항공정비산업이 활성화되지 않아 규모가 큰 정비의 경우 해외로 보내 수리해 들여왔다. 시간·재정적 부담이 너무 컸다.
정부가 지난해 4월 경남에 '군수분야 항공제조부문 항공국가산업단지'를 지정한 것처럼 인천공항에도 '민수분야 항공기정비 서비스부문의 항공정비특화단지'를 조속히 지정해야 한다.

국토부와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대해 4단계 사업 조성부지에 반영된 항공정비산업특화단지가 조속히 개발되도록 적극 지원할 것을 요청한다. 혹여 인천의 지역이기주의라는 오해 소지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 사안은 인천이라는 지역적 이점만을 강조하는 사안이 아닌 국가적 관점에서 봐야 할 중차대한 사안이다.
23일 인천지역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인천소통네트워크와 인천상공회의소는 이학재·윤관석 국회의원과 공동으로 이런 항공정비산업단지 지정을 주제로 한 토론회를 국회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토론회에는 관련 학계와 업계는 물론 국토부, 인천공항공사, 인천시, 시민단체 등 해당 기관과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심도 있는 토론을 펼칠 계획이다.

머잖은 미래에 닥칠 수 있는 한국항공정비산업의 위기와 기회를 어떻게 판단하고 계획을 세우느냐는 지금 우리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풀어야 할 숙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