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임없는 철수설…지역경제 살얼음판
▲ 10일 인천 부평구 한국GM 정문에서 열린 '한국GM비정규직 해고 저지 집회'에 참석한 한 노동자의 옷에 "함께 살자"라는 문구가 붙어 있다. /양진수 기자 photosmith@incheonilbo.com

생산량·인원축소 움직임 … 협력업체 700여곳 영향


"한국 시장 철수는 없다."
한국지엠 '철수설'이 수면 위로 오를 때마다 사측은 부인했다. 한국 시장 중요성을 강조하며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라고 달랬다. 1년 전, 다시 불거진 철수설에 회사는 아니라고 했지만 의심은 종식되기보다 점차 형태를 갖추고 있다.

한국지엠 본사가 있는 인천은 그야말로 살얼음판이다. 한국지엠 위기는 곧 인천 일자리, 제조업 위기라는 인식에 지역 사회 불안감이 고조되는 것이다. 한국지엠 수출 매출액이 13조3772억원(2013년)→8조7904억원(2016년)으로 급감했다.

급기야 지난해 말 군산공장 가동이 중단되더니 부평공장도 사무직 감소, 생산량 축소 등이 진행됐다. 연말엔 사내하청업체 소속 비정규직 노동자 65명이 사측 '인소싱' 정책으로 무더기 해고 통보를 받았다. 이렇다 보니 철수설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인천상공회의소 자료를 보면 인천 기업 중 한국지엠은 현대제철에 이어 매출액이 가장 높은 회사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종사자로만 따지면 인천에서 최대 규모다. 한국지엠 노조는 인천 본사와 부평공장 정규직만 8500여명으로 보고 있다. 산업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지엠은 지난 15년간 1만5322명 임직원을 유지하면서 매년 평균 1조1000억원을 급여로 지출했다. 이 중 인천 몫은 50%를 넘어서 한국지엠이 문을 닫는 순간, 8500명이 실업 등 고용 불안 상태로 내몰리는 동시에 연간 6000억원대 소비 기반이 무너지게 된다.

생산량 축소 후폭풍은 벌써 시작됐다. 협력업체에 도미노식 타격을 주고 있다. 한국지엠 1차 협력업체는 인천에만 40여곳으로 알려졌다. 2·3차 협력사까지 합하면 700여곳이 직·간접적으로 얽혀 있다. 관련 노동자만 2만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인천 자동차 산업은 지역 제조업의 13.6%를 차지하고 있다.

금속노조 인천지부 한국지엠부평비정규직지회 관계자는 "한국지엠 생산량 감소와 최저임금 상승에 맞물려 2·3차 하청업체들에선 소리 소문없이 파견 노동자 해고가 잇따르고 있다"며 "워낙 사례가 많다 보니 그 규모조차 파악이 힘들다"고 말했다.

최근 한국지엠 철수설이 재점화 된 건 산업은행의 한국지엠 지분매각 거부권(비토권) 종료를 앞둔 2017년 초부터였다. 그해 10월 한국지엠 지분 17.02%를 보유하고 있는 산은의 비토권이 상실되면 한국지엠이 철수를 결정해도 이를 막을 방법이 사실상 없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지엠 노조 관계자는 "소속 노동자는 물론 정치권까지 나서 이 문제를 해결해 보려고 애썼지만 시일만 넘겨 버렸다"고 했다.

/김원진 기자 kwj7991@incheonilbo.com



관련기사
'수출 둑' 무너지자 급물살 … 소통창구가 필요하다 한국 철수를 막을 마지막 안전장치인 산은 비토권이 절실했다는 건 그만큼 한국지엠 행보가 불안했다는 의미다. 한국지엠은 2016년, 2017년 최악의 해를 보냈다. 생산량과 매출 감소세가 계속돼 누적적자가 2조원을 넘어섰다. 모기업인 글로벌 지엠은 수출 매출 비중이 높은 한국지엠에 불리한 구조조정을 벌이며 시장을 흔들고 있는 모양새다. ▲'수출 붕괴' 철수설 근원지 한국지엠 전체 매출에서 85.7%(2013년)를 차지하던 수출 매출 비중은 71.8%(2016년)까지 떨어졌다. 이 기간 국내 매출액이 2조2268억원→3조4438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