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역사의 민족사적 가치와 위상 정립'을 목표로 2013년 6월 창립된 '강화고려역사재단'이 지난해 3월 '강화역사문화센터'로 이름을 바꾸고 인천문화재단에 통합됐다. 최근에는 '인천역사문화센터'로 명칭을 변경함으로써 그 기능과 역할에 대한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달 22일 열린 인천문화재단 이사회에서 통과된 인천역사문화센터의 직제 및 정원 규정안을 최근 승인했다. 하지만 인천문화재단이 문화예술 진흥의 고유 기능과는 동떨어진 역사연구와 조사업무까지 손을 대면서 지역 역사학계와 시민단체의 따가운 눈총을 받게 됐다.

지난 10일 인천경실련은 "시와 인천문화재단은 이번 변경행위에 따른 제반 절차를 중단하고 의견수렴에 나서야 하며, 특히 문화재단의 설립 취지를 벗어나 본말이 전도된 문어발식 시설·기관 운영에 대한 근본적 대책도 논의할 때"라고 혹평했다. 이와 관련해 인천시 문화재과는 "역사자료관 시사편찬위원회는 시사를 편찬하는 일을, 인천역사문화센터는 조사·연구를 주요 기능으로 하기에 각각 서로 독자적인 업무 영역을 가지고 있다"는 입장이다.

역사 연구와 편찬 사업은 기계적으로 구분해 수행하기 부적합해 사계 전문가들의 긴밀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이루어져 왔다. 인천시 역사를 정리하고 기록해 나가는 작업이 행정적인 용역사업 정도로 해결될 수 있는 사안이 아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인천시가 3조여원의 규모로 '강도(江都)의 꿈'이라는 거대한 프로젝트를 제시하고 있는 시점에서 강화고려역사를 담당해온 조직이 인천 역사를 통괄하게 되는 구조변화도 앞뒤가 석연치 않다.

역사 분야는 문화기관에 예속될 수 없는 독자적인 영역이다. 또 지역 역사를 다루는 일은 오랫동안 폭넓은 분야의 전문인력을 활용하고 유지해온 시스템을 더욱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인천의 정체성과 가치를 집대성하는 역사 분야에 문화 출자출연기관이 나서기보다 독립적인 기관이 설 수 있도록 시 정부의 정책도 신중해야 한다. 이제라도 인천 역사를 위한 올바른 기관 형성과 발전적인 기능, 역할을 위해 지역 역사연구기관, 시민단체 등의 여론을 수렴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