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순 北병사로 본 현주소
단기 군의관이 90% 이상
외과 수술 전문의 10%뿐
신속후송·전문응급 구축
軍, 5개년 발전계획 수립
지난 13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으로 귀순하다 총상을 입은 북한군 병사 사례를 계기로 총상 환자를 제대로 치료할 수 없는 '군 의료체계'를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 '골든타임'을 확보할 수 있는 후송·응급조치 체계도 전문적으로 갖춰야 하는 시급한 과제도 있다.

16일 국방부 등에 따르면 군은 성남·청평·부산·원주 등 국군병원 17곳을 운영하고 있다. 이 중 성남 국군수도병원은 군 내 유일한 종합병원으로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국군수도병원조차 중증외과의학 전문의가 턱없이 부족하다.

전체 군의관 중 단기 군의관(3년간 의무복무)이 90% 이상이어서 전문성과 연속성이 낮다.

또 국군병원에서 근무하는 군의관 701명 중 응급의학과나 외과 전문의는 10%에 불과하다. 이런 구조적 한계로 국군수도병원에 이송된 중환자를 다시 민간병원으로 이송하는 사례도 적잖게 발생한다.

지난 13일 귀순하다 총상을 입은 북한군 병사는 국군 병원이 아닌 아주대병원 권역외상센터에서 치료를 받았다.

지난해 8월 북한군 목함지뢰에 발목을 다친 하재현 하사도 국군수도병원으로 긴급 후송됐지만 특수외상 수술이 불가능해 분당 서울대병원으로 옮겨졌다. 이 때문에 민간의료를 택하는 국군장병도 증가하는 추세다.

군 병원 대신 민간병원을 이용한 군 장병들은 2011년 26%에서 2016년 42%로 크게 늘었다.

신속한 후송·응급조치 등을 통해 '골든타임' 확보를 기대할 전문 응급체계도 허술하다.

이번 북한 병사가 목숨을 잃지 않은 것은 미 육군 의무항공대 '더스트 오프(Dust Off)' 구급대원들의 흉관 삽입술과 같은 신속한 응급조치가 이뤄졌기 때문이다.

미군 의무 전문 부사관들은 60주 동안 온갖 종류 의무 교육과 임상실습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웬만한 의사들처럼 응급수술이 가능하다.

국방부는 올해 1월 군 의료에 대한 불신을 씻기 위해 '2017~2021 군 보건 의료 발전계획'을 세우고 향후 5년간 진료능력 개선을 집중 추진키로 했다.

군은 국군수도병원에 160명의 의료진과 60개의 병상을 갖춘 국군외상센터를 2020년까지 개원할 방침이다.

또 군은 군 병원에서 근무하는 의무병은 면허·자격을 갖춘 전문의무병으로 대체한다는 계획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앞으로 국군수도병원을 비롯한 군 병원의 진료 수준을 높이겠다"며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군 의료체계를 구축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경훈 기자 littli18@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