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국가 중 발병률 1위
인천 외국인환자 매년 증가
학교·구치소 등 집단 감염도
'1차 대응 기관' 필요성 대두
우리나라에서 최근 10년간 매년 3만명 이상의 결핵환자가 발생했다. 우리나라 결핵발생률은 2015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80명으로 OECD국가 가운데 꼴찌다. 가장 낮은 아이슬란드(2.4명)에 비해 결핵발생률이 무려 33.3배나 높은 '결핵공화국'인 것이다.

인천의 경우 10만명당 73명으로 전국 평균치 보다 다소 낮지만 외국인 결핵환자 증가율이 급격히 늘면서 최근 들어 증가세가 높아지고 있다. 결핵의 퇴치와 예방을 위해 2010년 폐쇄된 결핵 전문 의료기관을 하루빨리 재개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지역사회에서 커지고 있다.


▲결핵발생률, 부끄러운 OECD 꼴찌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 2007년부터 2016년까지 10년간 국내에서 35만4150명의 결핵환자가 발생했다.

연도별로 2006년 3만3710명, 2008년 3만4157명이던 결핵환자가 2010년 3만6305명, 2011년 3만9557명, 2012년 3만9545명으로 꾸준하게 증가하다가 2013년 3만6089명, 2014년 3만4869명, 2016년 3만892명으로 다소 감소 추세에 있다. 정부가 해마다 400억의 안팍의 예산을 투입해 결핵퇴치 사업을 하고 있지만 좀처럼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별로 보면 2016년의 경우 경기가 6577명으로 가장 많고, 서울 5769명, 부산 2221명, 경북 2214명, 경남 1977명, 인천 1635명 등의 순이었다. 지난 10년간 외국인 결핵환자는 총 1만1205명으로 2016년(2123명)의 경우 10년 전인 2006년(489명)에 비해 4배 이상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2016년의 경우 80세 이상이 4693명으로 가장 많고, 75~79세 3057명, 55~59세 2719명, 50~54세 2448명 등의 순이었다.

같은 기간 동안 발생한 영유아(0~2세) 결핵환자는 2012년 43명, 2013년 34명, 2014년 26명, 2015년 20명, 2016년 12명, 2017년 6월 말 기준 7명으로 총 142명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지역이 29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서울(28명), 부산(13명), 경남(12명), 충북(10명), 인천(8명) 등의 순이다.

환자들을 상대하는 보건의료인 감염자도 해마다 200명 이상씩 발생하고 있다. 2013년 214명, 2014년 294명, 2015년 367명, 2016년 272명의 보건의료인이 결핵환자로 드러났다.

OECD국가의 결핵발생률을 보면 우리나라의 경우 2015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80명으로 발생률이 가장 높다. 라트비아가 41명으로 2위, 포르투갈 23명, 멕시코 21명, 폴란드 19명 등으로 높고 아이슬란드가 2.4명으로 가장 낮다. 아이슬란드에 비해 우리나라 결핵발생률이 33.3배나 높은 셈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상훈의원은 "우리나라 결핵발생률이 너무 부끄러운 수준"이라면서 "7월부터 건강보험공단이 주관하는 만 40세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때 잠복결핵 검진을 시행하고 있지만 5년간 한시적 실시인데, 유아기, 청소년기 등 전 연령대에 걸친 검진 등 보다 체계적이고 철저한 결핵퇴치 전략과 과감함 투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인천 복십자의원 재개원해야

결핵은 기침이나 대화 등을 통해 호흡기로 감염된다. 보통 감염 여부만 알 수 있을 뿐, 감염 경로를 명확하게 확인하긴 어려운 전염병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결핵 판정을 받을 때까지 일상생활을 같이한 주위 사람이 최초의 결핵 보균자로부터 잠복 결핵 형태로 전염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에 흉부 엑스레이(X-Ray) 검사와 잠복 결핵 검사를 한다.

잠복 결핵은 실제 결핵으로 발병한 것은 아니지만, 치료를 받지 않으면 추후 결핵으로 발병할 수 있다. 결핵 간호사가 근무한 서울의 한 병원 신생아실을 거쳐 간 영아 중 잠복 결핵 양성 판정을 받은 영아가 118명이나 나타나는 등 병원, 학교, 구치소 등 집단 시설에서 결핵 감염 사고가 해마다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잠복 결핵 보균자의 10% 정도가 결핵환자로 이어지며, 최근 3년간 전국 고등학교의 48%인 1093개 교에서 발생했다. 15~19세 중·고교생과 65세 이상 노년층에서 결핵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다.

특히 학업스트레스 등 면역력이 저하되고 냉·난방 시설이 잘 이뤄져 밀폐공간인 교실에서 집단생활이 이루어지는 학교에서 결핵환자가 발생하면 집단 발병으로 진행될 우려가 크다.

최근 인천지역에 발생한 결핵환자 유형을 보면 보건당국의 지적대로 집단 발생 추세다.

2015년 인천지역 한 중학교에서 집단으로 결핵이 발생해 학생과 교사 등 107명이 결핵이 감염돼 휴교령이 내려진 것을 비롯해 지난 9월에는 계양구 한 고등학생이 결핵의심진단을 받아 등교 중지 조치되는 등 인천지역에서 결핵발생은 심심찮게 일어나고 있다. 인천구치소에서도 결핵환자와 같은 방을 쓴 재소자들이 무더기로 잠복결핵 판정을 받아 논란이 되기도 했다.

얼마전에는 인천지역 한 구청 보건소가 완치가 가능했던 폐결핵 환자에게 제대로 된 조치를 취하지 못해 사망에 이르게 하자 유족들에게 거액의 손해배상을 지급한 바 있다.

인천지역은 전국 평균에 육박하는 높은 결핵발생율을 보이고 있는데다 외국인 유입이 꾸준하게 늘면서 결핵발병 위험이 높은 곳으로 꼽힌다.

항만, 항공 등 교통의 중심지로 매년 외국인 유입이 증가하고 있는데다 거주 외국인 근로자도 매년 2.5% 정도가 증가해 현재 6만여 명에 이른다. 결혼이민자도 해마다 증가해 거의 1만여 명이 되고 있다. 여기에 북한이탈주민과 사할린 영주귀국자 결핵관리 및 보건문제 대책도 고려해야 한다.

대한결핵협회에 따르면 2015년도 인천지역 외국인 결핵환자는 89명에서 2016년 123명으로 38% 증가했고 신규환자도 37%나 늘었다.

이에 따라 2010년 대한결핵협회 소속 결핵전문병원이 여러 이유로 문을 닫으면서 결핵에 제대로된 대처를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은 계속되고 있다.
보건소 치료 실패, 다제내성 결핵환자 및 치료 비순응자 치료가 가능한 전문 1차 의료기관이 절실한 것이다.

대한결핵협회 인천지부 관계자는 "인천시 결핵 관리와 업무 수행은 휴원 중인 복십자의원을 재개원함으로써 행정 중심이 아닌 결핵환자 중심으로 국가 결핵 관리를 일원화하고, 현재 각 보건소 결핵 환자 관리 및 엑스선 영상 판독 지원을 보다 효율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잠복 결핵을 관리하면서 결핵 관리 및 엑스선 영상 판독 지원으로 보건소 업무 감소, 체계적인 결핵관리로 시 예산 절감을 가져올 수 있도록 휴원 중인 결핵 전문병원인 복십자병원을 다시 열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인천지부에서는 잠복 결핵 검진 팀에 3명을 보강해 인천지역 135개교 1만7000여명의 고교생 중 60%에 해당하는 학생들에 대한 검진을 완료했다.

/김칭우 기자 chingw@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