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승용 한국외대 중국연구소 초빙연구원  
올해 추석 명절 기간이 열흘이나 되다 보니, 가을의 정취를 한껏 느낄 수 있는 여유까지 주어진 느낌이다. '가을 秋(추)'자는 벼를 뜻하는 화(禾)자와 불을 뜻하는 화(火)자가 조합된 것이니, 봄에 심었던 벼 싹이 여름과 가을 내내 뜨거운 햇볕을 받아서 누렇게 익은 것을 나타내는 글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쯤 벼가 익어가는 들판을 바라보는 농부들은 한 해 동안 애쓴 보람과 한 해를 마무리하게 되었다는 안도감에 가슴이 뿌듯할 것이다.

그런데 낱알이 누렇게 농익어 풍요로운 계절이라는 뜻인 '가을 추(秋)'자에 '마음 심(心)'자를 붙이면 '걱정하는 마음'이라는 뜻의 '근심 수(愁)'자가 된다. 한 해 동안 애써 농사를 지어 수확하는 계절이 가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정작 '가을의 마음'은 어째서 '근심스럽다'고 여겼던 것일까?

하긴 옛날에는 가을이 아무리 풍요롭다고 해도 늘 좋은 일만 있는 것은 아니었다. 혹독하게 추위가 몰아칠 겨울을 견뎌야 하고 이어서 따스한 봄이 오더라도 곧 먹을거리가 떨어져서 또 다시 배를 곯아야 하는 춘궁기(春窮期)를 맞이해야 할 생각을 하면 역시 근심스럽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가을 수확 철이 되면 온 나라를 두려움에 떨게 하는 연례행사를 치러야만 했다. 바로 만리장성 너머에 사는 흉노족 같은 유목민족들이 침략해 와서 중국에서 가을걷이를 해둔 곡식을 약탈해 가는 것을 대비해야만 했다.

천고마비라는 말이 처음 지어진 것은 당(唐)나라 때이다.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두보(杜甫)의 할아버지인 두심언(杜審言)이 북쪽 변방(邊方)에 수자리하러 나가 있던 친구 소미도(蘇味道)에게 임무를 잘 마치고 몸 성히 돌아올 것을 기원하면서 보낸 시에서 "가을 하늘이 높고 변방의 말이 살찐다"라는 뜻에서 '추고새마비(秋高塞馬肥)'라고 했던 것이 천고마비로 바뀌어 오늘날까지 전해졌다.

이처럼 천고마비는 흉노족이 매년 가을 만리장성을 넘어 중국에 쳐들어와 곡식을 약탈하던 것과 관련이 있는 말이다. 흉노족이 살던 초원지대는 농사를 지을 수 없으니, 자신들이 키우는 말이나 양으로 중국의 곡식과 교환하는 방식의 무역을 하면 될 것인데, 유목민족들은 워낙 말을 잘 타고 싸움에 뛰어나다 보니 대개는 정상적인 무역보다는 말 타고 중국으로 쳐들어와서 약탈해 가는 것에 더욱 익숙해 있었다.

그렇지만 아무리 중국이 농경을 주요 산업으로 하는 국가라고 해도 곡식이 늘 넘쳐나는 것은 아니었다. 중국의 농부들이 가을걷이를 마치고 수확물을 들판에 고이고이 쌓아둘 때쯤이면 흉노족 역시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양식을 말들에게 잔뜩 먹여 말들을 살찌워서 중국으로 약탈하러 갈 준비를 마쳐야 했던 것이다. 그렇다 보니 하늘이 높아지는 가을에 말이 살찐다고 한 것은 가을이 되었으니 만리장성을 사이에 둔 중국과 흉노족이 서로 치고받을 전쟁 준비를 한다는 매우 비장한 의미로 쓰였다.

이제 해마다 가을이 되면 만리장성을 사이에 두고 먹을거리 때문에 전쟁을 치르지는 않는 세상이 되었다. 지금이 인류 역사상 가장 풍요로운 시대라고도 말한다. 그렇다고 해서 세계의 모든 나라가 두루 고르게 잘 먹고 잘 사는 세상이 되었다는 의미는 아닐 것이다. 천고마비의 계절을 맞아 먹을거리 때문에 목숨을 걸고 싸워야만 했던 이들과 오늘날 아직까지도 어디에선가는 끼닛거리가 없어서 굶주리는 이들이 있다는 것을 되새겨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