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립유치원 원장들의 '집단 이기주의'가 빚은 보육 대란 우려가 휴업 자진철회로 일단락됐다. 이번 사립유치원의 집단 휴업사태는 유아교육의 치부를 적나라하게 드러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유치원총연합회는 집단 휴업 강행과 철회를 번복하며 우스꽝스러운 모습만 국민 뇌리에 각인시켰다. 이들의 '집단 휴업' 엄포에는 애초부터 명분이 약했다. 이들의 요구는 '국공립 수준의 지원금 상향 조정'과 '국공립유치원 확대 반대'로 점철된다. 지원금은 시설비와 교사 인건비 등 매월 1인당 국공립 98만원, 사립 29만원으로 차이를 보인다. 이를 단순 비교해 동등하게 지원해 달라니 기가 막힌다. 또 전체 유치원의 24%인 국공립을 5년 내 40%까지 확대한다는 정부 방침을 반대했다. 보육비는 낮고 교육의 질이나 환경면에서 우수한 국공립 확대를 바라는 국민감정을 건드렸다. 그렇다 보니 이들에게는 지지는커녕 쓴소리와 비아냥이 쏟아졌다. 이들이 내세운 두 가지는 명분에 불과할 뿐, 그 저의(底意)에는 자신들의 치부를 덮고자 하는 절박함이 있었던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

2015년 9월 국무조정실이 사립유치원의 일부 비위를 확인하고 교육부를 통해 각 시·도교육청에 점검을 지시했다. 경기도육청도 1100여 사립유치원의 회계장부를 들여다보고 있다. 올해 상반기까지 불과 21곳을 들췄더니 17곳에서 각종 비위가 쏟아졌다. 모두 152건의 징계 사유가 확인될 정도다. 우선 원비를 회계장부조차 없이 쌈짓돈인양 물 쓰듯 했다. 가족을 직원으로 채용해 돈을 빼가는 사례는 기본이고, 명품백과 성인용품을 사기도 했다. 도교육청은 탈루가 의심되는 85억6000여만원을 국세청에 통보한 상태다. 사법기관에 수사를 의뢰한 곳도 4곳에 달한다.

교육을 자신의 부를 축적하는 수단으로 여겨 '집단 휴업' 카드를 꺼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설령 이런 일이 사립 유치원뿐이었겠는가. 그간 많은 사립 대학을 비롯한 중·고교 등도 정부의 교육비를 멋대로 사용하다 적발되지 않았는가. 국민의 세금으로 교육비를 지원받으면 감사를 받는 것은 당연하다. 이번에 교육당국 감시 사각에 있던 사립유치원은 특정감사를 계기로 환골탈태(換骨奪胎)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