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국가책임제는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 중 아주 좋은 것으로 평가를 받는다. 치매인구는 날로 늘어가는데 그 부담은 전적으로 개인과 가족들이 져야만 했던 게 우리의 현실이다. 이 공약은 오직 개인에게 그 책임을 돌려왔던 것을 국가의 책무로 했다는 점에서도, 늦었지만 마땅하고 또 옳은 정책이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초 인수위는 치매안심센터를 새 정부 100대 과제로 선정했다. 보건복지부는 그 후속작업으로 전국 보건소 252곳에 치매안심센터를 설립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치매국가책임제 추진계획'을 지난 18일 발표했다. 이 추진계획에 따르면 전국에서 이미 운영되고 있는 47곳의 치매지원센터를 제외한 205곳을 오는 12월까지 열어야 한다.

경기도의 경우 기존에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5곳 외에 39곳을 새로 설립해야 한다. 경기도가 난색을 표하고 나섰다. 3개월밖에 남지 않은 기간에 센터를 건립하고 인력 채용을 마친 후 연말 안에 개소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는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시·군 보건소가 연말까지 직접 운영하는 방식으로 검진실과 쉼터 등을 포함해 치매노인과 가족들의 1:1 맞춤형 상담, 검진, 관리, 서비스를 연결하는 통합지원센터를 열라고 한다. 이를 위해선 치매안심센터 전담간호사, 사회복지사 등 평균 30여명의 전문인력을 채용하고, 600㎡의 공간을 얻어야 한다. 건물은 신축 또는 리모델링을 통해 확보해야 한다. 아쉽다. 얼핏 보기에도 무리다. 마치 우물에서 숭늉을 찾는 격이다. 아무리 80%의 예산을 국비로 지원한다고 하지만 이 경우 예산이 아니라 기간이 문제다. 통상 3개월은 건축물 하나 올리기에도 짧은 기간이다. 인력채용 또한 이렇게 서두른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다.

현재 경기도내에서 12월까지 개소가 가능한 보건소는 10곳에 불과하다는 게 도가 확인한 현실이다. 그나마 경기도는 타 시·도에 비해 예산을 어느 정도 갖추고, 기존 치매지원센터를 운영했던 경험 등으로 볼 때 조건이 나은 편에 속한다. 이런 경험마저 일천한 시·도에서 겪을 어려움은 그야말로 뻔하다. 꼭 필요하고 중요한 일일수록 서두르지 말아야 한다. 조금 늦더라도 제대로 하는 게 답이다. 다만 지나치게 늦어지는 일만 경계하면 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