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환자와 가족의 부담으로 작용했던 치매관리가 국가사회의 과제로 떠올랐다. 정부는 18일 '치매 국가책임제 대국민 보고대회'를 개최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사항이기도 했던 치매 국가책임제의 전반적인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본격적인 행보에 나설 방침이다. 특히 올해 전국 34곳의 치매안심병원은 내년 말까지 79곳으로 늘어나게 된다. 인천도 난폭한 행동, 배회 등 '이상행동증상'을 보이는 치매 노인 전담 시립노인요양병원 추가 설립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가파른 고령화의 영향으로 예측보다 앞선 지난 8월 말 고령사회에 공식적으로 진입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전체인구의 14%를 넘어 725만7288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치매환자는 72만5000명으로 노인 10명 중 1명이 치매환자로 파악됐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올해 말 전국 252개 보건소에 '치매안심센터'를 설치해 숨어 있는 치매환자를 찾아내고, 맞춤형 상담을 벌이기로 했다. 또 등급기준 장벽이 높았던 장기요양 등급제도를 개선하고, 치매안심형 주야간보호시설을 2022년까지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다음 달부터 중증 치매 환자의 건강보험 본인부담률은 20∼60%에서 10%로 낮아진다.

치매 국가책임제는 환자와 가족의 경제적 부담과 심리적 고통을 대폭 경감하고, 치매예방 사업에도 박차를 가할 수 있는 반가운 소식이다. 하지만 당장 13조원, 2050년에는 100조원 이상의 막대한 재정을 투입해야 한다. 정부의 면밀한 재정 확보가 반드시 뒷받침돼야 지속가능한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 오늘(21일)은 열 번째 맞이하는 국가지정 '치매극복의 날'이다. 시·도별 치매 관련 포럼과 학술대회도 집중되고 있다. 한국노년교육학회는 지난 주말 서울 노량진 50플러스센터에서 '치매국가책임제를 論하다'라는 포럼을 열고, 추계학술대회의 주제도 '치매국가책임제, 노년교육의 역할'로 정했다. 그만큼 치매는 노년기 삶의 화두다.

인천의 경우 인구유입이 증가하고 있지만 저출산 영향 등으로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된다. 중증 치매 환자를 돌볼 노인요양병원 확충은 건강한 인천을 구축하는 시정부의 시대적 소명, 필연적 과제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