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와 10개 군·구, 상인회 등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전통시장에 투자했으나 좀처럼 효과를 보이지 않는다. 대책 마련이 시급한 까닭이다. 지난 2001년부터 최근까지 투자한 금액만 2100억원에 이른다고 한다.

이 돈은 주차환경 개선과 경영 현대화 등에 쓰였다. 대형할인점, 편의점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으려고 17년째 공을 들여왔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인천지역 전통시장은 모두 46곳으로 대형·중대형 시장 2곳을 제외하면 중소형 시장이 대부분이다. 전통시장의 점포수는 1만555곳, 상인은 2만7341명에 달한다. 점포 수로만 볼 때 전국 7위 규모다.

이들 전통시장은 200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위기를 맞았다. 대형할인점이 여기저기 생기면서 소비자들이 전통시장에 발걸음을 끊기 시작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전통시장의 시설현대화, 주차환경 개선, 경영 현대화 등을 위해 국비와 지방비 등 막대한 예산을 투입했다. 그런데도 아직도 상당수 소비자는 대형마트를 선호하고 있다. 게다가 요즘엔 편의점들마저 동네상권을 장악하면서 전통시장들은 울상을 짓는다.

이처럼 전통시장이 고전을 면치 못하는 이유는 여러가지다. 소비자들은 전통시장에선 카드결제가 잘 안되고 되더라도 눈치를 봐야 하는 등 상대적으로 불친절하다고 불평을 한다. 주차장이 부족하고 물건에 대한 신뢰도도 떨어진다는 불만도 나온다. 실제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표한 '2015년 전통시장 상점가 점포경영 실태조사'에선 전통시장 내 결제수단의 66%가 현금 거래로 나타났다.

전통시장은 우리와 함께 오랫동안 살아온 '문화시설'이기도 하다. 갖가지 문화예술 행사들이 시장에서 이뤄진다. 인천엔 특히 양키시장, 부평시장, 현대시장 등 역사를 품고 있는 시장이 많다. 현대사회는 다양성을 기본으로 하는데, 전통시장을 살리려면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주어야 한다.

우선 지금 널리 쓰이는 신용카드 결제는 물론이고 주차장 완비 등 소비자들에게 편리함을 주어야 마땅하다. 이런 서비스 개선 없이 소비자들에게 무턱대고 전통시장으로 가라는 것은 무의미하다. 전통시장만의 마케팅전략 개발도 시급한 과제다. 관계 당국 역시 무작정 예산만 책정하기보다 효율적으로 전통시장을 이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