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100대 국정과제인 도시재생뉴딜사업에 경기도가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도시재생뉴딜사업은 문재인 정부가 5년간 50조원을 투입해 전국 500곳의 도시재생을 목표로 하고 있는 초대형 국책사업이다. 이 사업은 공동화되는 구도심에 활기를 불어넣는다는 사업으로 전국의 자치단체에서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현 정부는 사업추진방식을 지방분권적 관점과 지역 특색을 가장 잘 파악하고 있는 등의 이유로 신규 사업 70%를 광역자치단체(도)에서 선정할 수 있도록 위임했다. 즉 광역자치단체의 역할이 커진 셈이다.

경기도의 경우, 과천시를 제외한 도내 30개 시·군이 도시재생사업 대상지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다. 경기도 전역이 사업대상 예정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경기도는 아직까지 사업계획은 커녕 제대로 된 조직조차 갖추지 못하고 있다. 경기도는 '국토부의 가이드라인'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는 등의 이유로 각 시·군과 협의할 조직조차 구성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인천과 부산, 대전, 광주, 제주 등 광역지방자치단체가 태스크포스(TF)팀을 발족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특히 경기도는 당장 다음 달부터 사업계획서를 접수해야 하지만 최근에야 시·군, 도시재생 지원센터, 연구기관, 전문가 등이 참여한 1차 운영회의를 처음 개최했다고 한다. 게다가 지난해 5월 개소한 경기도 도시재생지원센터는 각 시·군의 도시재생 사업 추진을 지원하는 조직이지만 센터장을 포함 도시재생 코디네이터 1명, 경기도시공사 파견 행정직원 4명 등 6명이 근무하고 있다. 사실상 전문인력은 센터장과 코디네이터 1명 등 단 2명에 불과하다. 전문인력 2명으로 30개 시·군의 도시재생 사업계획 수립 컨설팅 역할을 수행해야 할 처지다.

도시재생지원센터 관계자는 "현재의 조직으로 내년 도시재생뉴딜사업 역할을 맡기에는 무리인 것이 사실"이라고 시인했다. 경기도의 도시재생뉴딜사업에 대한 안일한 행정이 비판을 받고 있는 이유다. 도시재생뉴딜사업은 1200만 도민들의 오랜 숙원사업이다. 안일한 행정이 도민들의 오랜 염원인 도시재생 사업의 걸림돌이 되지나 않을까 우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