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 파동이 친환경 농산물 등 먹을거리 전반에 대한 불신으로 확대된다. 친환경 인증을 받았던 제품에서마저 대거 살충제 성분이 검출됐기 때문이다. 계란 파동 와중에도 족발과 편육 등에서 식중독균이 검출되고, 소주에서도 이물질이 나와 소동이 이어졌다. 앞서 햄버거에선 용혈성요독증후군(HUS) 감염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식탁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대책이 요구되는 이유다.

정부는 계란 파동에 따라 친환경농가 683곳, 일반농가 556곳 등 총 1239개 산란계 농장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닭 사육에 사용이 금지된 '피프로닐' 농가 8곳, '플루페녹수론' 2곳, '에톡사졸' 1곳, '피라다벤' 1곳이 나왔다. 17개 농가에선 비펜트린이 허용기준치(0.01㎎/㎏) 이상으로 나왔다. 특히 부적합 농가 49곳 중에서 친환경 인증 농가가 31곳에 달했다. 비록 부적합 판정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살충제가 조금이라도 검출돼 친환경 인증 기준에 미달한 농가는 37곳이었다. 기준치에는 미달하지만 살충제 성분이 조금이라도 검출된 친환경 농가는 모두 68곳으로 일반농가 18곳보다 4배 가까이 많았다. 허울뿐인 친환경 인증제도의 실체가 고스란히 드러난 셈이다. 당분간 친환경 인증제품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확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부실검증 논란을 일으킨 친환경 인증제도를 보완하고 축산물 이력제를 닭고기와 계란에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또 동물 의약품 유통판매의 기록관리를 의무화하겠다고 했다. 문제는 실효성이다. 친환경 인증제도부터 바꿔야 한다. 현재 정부는 산란계 농장의 친환경 인증을 민간기관에 위탁한 상태다. 민간인증기관은 농산물품질관리원이 관리·감독한다. 하지만 이 방식은 통하지 않았다. 살충제 성분이 처음 검출된 남양주 농장의 경우 지난 2일 민간인증기관이 시행한 검사에선 적합 판정을 받았다. 그런데도 10여 일 뒤 농식품부 전수 조사에선 피프로닐이 검출됐다. 철저한 관리·감독이 전제되지 않는 위탁은 허술할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우선 검증 시스템을 통합하라고 요구한다. 그보다 먼저 실효성 있는 위생 및 식품안전조사 방식으로 업계 전반의 긴장감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