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727010206.jpeg
인천 근대건축물의 보존을 위해서는 전수조사 후 관리 실행계획을 수행하고, 지역사회가 건축물의 장소성과 미래유산 가치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인천문화재단은 27일 오후 칠통마당(인천생활문화센터) 내 H동 2층 다목적실에서 '인천 근대건축물 개발과 보존의 경계에서'라는 주제로 제58회 목요문화포럼을 가졌다.

이날 배성수 인천시립박물관 컴팩스마트시티부장은 '인천 근대건축물 보호, 그 회고와 전망'이라는 주제 발표에서 "지난 6월 기습 철거된 중구청의 옛 '애경사' 건물은 '미래유산의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공에 의한 철거였다'는 데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철거여부의 찬반여론이 비등한 상황에서 조정절차없이 철거됐으며, 건물의 가치에 대한 제대로 된 정보 및 지식이 부족했다는 점에서 반성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배 부장은 개항이후 근대 건축물은 일제 잔재 청산이라는 명분과 재건축, 화재 등으로 소멸됐다고 밝혔다.

인천의 근대건축물은 80년대에 사회적 관심과 도심의 중구에서 남동구 이전 등으로 소멸사례는 줄어든다. 하지만 여전히 인천여고·조병창·축현초등학교 등 재건축 등 대규모 공영개발로 공간 자체가 소멸됐으며, 동방극장 등이 주차장 등 공공시설 조성 목적으로 철거는 계속이어졌다.

1959년 최성연 '개항과 양관건축', 2003~2004년 인천시립박물관 '인천남부종합학술조사', 2006년 손장원 '다시 쓰는 인천 근대건축', 인천시립박물관의 '인천근현대 도시유적'·'관영주택과 사택'을 비롯해 부평 산곡동 근로자 주택·골목길 숨은 보물찾기·사택마을 부평삼릉 등 인천 지역의 근대건축물의 대한 관심과 조사가 활발히 이뤄졌다.

하지만 1994년 서도중앙교회의 문화재 지정을 끝으로 2000년까지 근대건축물의 문화재 지정 사례는 없다면서 지역사회의 관심과 고민이 있어야만 제도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 부장은 "지역의 건축사 전문가를 길러내고, 건축물보호와 함께 공간이 갖는 장소성에 관심가져야 한다"며 미래유산으로서의 가치에 주목해서 선별적으로 보호할 것을 제안했다.


/이동화 기자 itimes21@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