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교육공약 도교육청 정책 반영" ...교육정책포럼서 분석
문재인 정부의 교육공약이 경기도교육청의 '4·16교육체제 비전과 전략 보고서'에서 제시한 정책과제를 반영하고 있어, 경기교육과제를 실현하는데 유리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이는 경기도교육청이 앞으로의 경기교육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26일 경기도교육연구원 대강당에서 개최한 '미래교육정책 포럼'에서 새 정부의 교육공약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내다봤다.

이날 '미래교육,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를 주제로 연 포럼에서 발제에 나선 도교육청 정책기획관 김동준 장학관은 "정부의 교육공약은 4·16교육체제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책과제와 유사하다"며 "교육공약에서 교육양극화와 입시고통 해소, 공교육 정상화에 대한 의지를 읽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장학관은 "새 정부의 교육공약의 의미는 분권과 자치, 자율을 바탕으로 한 교육개혁 모델"이라며 분권과 자치의 핵심으로 '학교민주주의에 의한 단위학교 의사결정 시스템 구축'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의 교육은 중앙집권적 방식으로 추진됐다"며 "공문과 지침만으로는 조직을 변화시킬 수 없고, 동시에 교육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중앙정부에서 통제하는 방식으로는 더 이상 감당하기 어렵다"며 '지역과 단위학교로의 중심축 이동'을 주장했다.

특히 "각종 교육법령을 보면 교육부장관과 교육감 간 역할과 기능을 모호하게 규정하고 있어, 갈등을 증폭시켰다"며 "교육부는 큰 비전과 방향을 제시하고, 세부적인 사안은 교육청에서 판단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또 고교체제개편의 쟁점으로 떠오른 '특목고·자사고의 일반고 전환'에 대해서는 세 가지 전환 방법을 제시했다.
특목고와 자사고에 대한 평가를 제대로 선별해 전환하거나, 초·중등교육법시행령에서 외고와 자사고 등의 명칭을 삭제하는 방식, 자사고와 외고의 선발권을 회수하는 방식 등을 분석했다.

김 장학관은 "일반고를 통해서 학생 개개인의 꿈을 실현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다양화가 필요하다"며 "학교 유형은 단순화하고, 내용의 다양화를 가져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공립학교를 중심으로 인근학교와 교육과정을 공유하고 협업하는 교육방식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육공약 중 학점형 고교체제에 대해서는 경기도교육청에서 이미 실시하고 있는 교육과정 클러스터와 주문형 강좌 운영 등을 통해 도내 학점형 고교체제의 실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외에도 김기수 도교육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미래교육연구 메타분석 결과 및 시사점'을 주제로 미래교육 연구의 주요 특징과 경기교육정책 수립의 시사점을 제시했고, 조윤정 부연구위원이 '미래교육의 지향원리'를 주제로 '배움에서의 학생주체화', '학습공간의 확장', '형평성 구현' 등의 미래교육 지향 원리 3가지를 발표했다.

/안상아 기자 asa88@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