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청이 부활했다.

국민안전처 산하 해양경비안전본부가 26일 해양경찰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그리고 이날 박경민 인천경찰청장이 신임 해양경찰청장으로 정식 임명됐다. 지난 2014년 4월16일 발생한 세월호 참사 이후 5월19일 전격적으로 해체된 지 3년1개월여 만에 당당히 해양경찰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이번 해경의 부활에는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이 뒷받침 된 것이다. 이같은 국가적인 결정에 더러운 지역이기주의를 씌우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해경의 본청을 인천이 아닌 자신들의 지역으로 가져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과거 망령처럼 치부됐던 지역이기주의가 되살아나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대통령의 공약을 공공연히 거부하며 인천 해경을 자기들의 앞마당으로 빼앗아가려는 부산의 시민단체들과 부산항발전협의회의 주장은 한마디로 어불성설이다.

'부산항을 사랑하는 모임'과 '부산항발전협의회'는 지난 25일 성명을 내고 '부활한 해양경찰청 본청 입지는 동북아 해양수도인 부산이 최적지'라고 밝히며 '1953년 12월 창설된 해경 본청이 부산이 있었다는 사실이 바로 해영경찰청이 부산으로 와야하는 이유'라며 해경본청의 부산이전을 주장하고 나섰다.

60여년전의 과거는 생생히 기억하면서도, 3년전의 잘못된 결정으로 해체된 기억은 부인하는 없다는 억지논리가 아닐 수 없다.

해경 본청의 위치는 아직 고시되지 않았지만, 대통령의 공약이나 국정과제로 이미 인천으로 확정된 것이다.

해경 직원들이나 대다수의 정치권 또한 대통령 공약대로 인천으로 가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런 시점에서 또다시 이런 논란을 부추기는 부산시민들의 속내가 궁금해진다.

대통령을 만들었으니 모든 해양 관련 기관을 부산에서 싹쓸이하겠다는 것으로 밖에 해석할 수 없다. 이들은 '전국의 균형발전을 위해 수도권을 규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들은 또 '부산을 해양수도로 하기 위해 모든 해양·항만 관련기관을 부산에 모아야한다'는 속내를 감추지않고 있다.

참으로 이상한 논리다. 정부는 빨리 대통령의 공약대로 해경의 인천환원을 매듭지어야 한다. 그것이 최소한 국론 분열을 막는 일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