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회의 출범으로 지방자치제도가 부활된지 어느덧 26년이 지났다. 1991년 전국 광역·기초자치단체에 지방의회가 구성되고, 1995년 단체장 선거가 실시됨으로써 1961년 5·16군사쿠데타로 중단됐던 지방자치제 재시행의 틀이 온전히 갖춰졌다. 여기에 쏟아졌던 국민들의 기대는 실로 대단했다. 하지만 지방자치제 부활에 걸었던 바람이 얼마나 허망한 것이었던가 확인되는데 걸린 시간은 그리 길지 않았다.

지방의회는 출범초기부터 숱한 문제점을 노정해왔다. 각종 이권개입, 청탁, 뇌물수수, 폭언과 폭행, 잦은 관광성 외유 등 일일이 셀 수조차 힘들 정도다.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감시기구가 설치돼 가동되고 있지만 지방의회와 의원들을 둘러싼 잡음은 지금까지도 여전히 되풀이되고 있다.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질타와 함께 일각에서 지방의회 무용론까지 거론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최근 극심한 물난리 피해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해외출장에 나선데 이어 해명과정에서 부적절한 언사로 논란이 되고 있는 충북도의회는 아주 작은 사례의 하나에 불과하다. 그리 놀랄 것도 없다는 말이다. 사정은 인천이라고 크게 다를 바 없다. 며칠 전 한 시의원이 뇌물수수 혐의로 1심에서 징역형을 받았다. 뇌물이 오가는 과정에서 공무원에 대한 부당한 청탁과 압력이 오갔음은 물론이다. 이도 역시 빙산의 일각일뿐이다. 광역, 기초 할것 없이 인천지역 의회 곳곳에서 수뢰와 폭행, 막말, 성추행사건 등이 꼬리를 물고 있다.
대부분 지방의회는 윤리특별위원회를 두고 있다. 그러나 당초 목적에 맞게,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곳은 손으로 꼽을 정도다. 일부 의회는 죄상이 명백히 드러난 의원을 선처해달라며 탄원서를 내는 등 이해 못할 행태까지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그저 답답할 뿐이다. 지방의회는 지나온 시간보다 앞으로 가야 할 시간이 훨씬 더 길다. 시대는 급속히 변하고 있다. 의회도 이러한 패러다임에 맞춰 바뀌어야 함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그 첫 번째가 뼈를 깎는 자기 반성과 자정노력을 통해 밑바닥까지 떨어진 유권자들의 신뢰를 하루 빨리 회복하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