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 열린 '인천공공보건의료 포럼'에서 부평과 계양구를 아우를 수 있는 제2의료원의 건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고 한다. 마땅한 일이며 오히려 늦은 감이 있다는 판단이다. 인천은 이제 인구 300만명이 거주하는 대도시로 성장했다. 그만큼 시민들에 대한 의료지원도 필요하다. 오히려 제2 의료원을 넘어 제3의 의료원 설립이 논의됐어야 하는 것이 맞다. 지금은 백세시대를 준비하는 단계다. 고령화사회는 이미 먼 미래의 일이 아니라 바로 현실속 우리가족과 이웃들의 문제가 된 지 오래다. 고령화 사회에서 가장 필요한 공공서비스는 의료분야다. 그러나 지금의 인천은 어떤가. 공공의료 기관이 인구가 늘고 있는 도심권을 벗어나 동구의 한 귀퉁이에 위치하고 있다. 당연히 대중교통을 이용하기도 불편해 많은 시민들이 기피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실제로 인천의료원을 연혁을 살펴보면 제2 의료원 설립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된다. 1883년 일본 연사관 부속 관립 인천 일본의원 설치로 부터 의료원의 역사는 시작된다. 1932년 경기도립 인천의원으로 변경됐으며 1981년 인천직할시립병원으로 전환됐다. 1985년 지방공사 인천병원이 됐다 2006년 인천광역시의료원으로 변경됐다. 물론 그동안 규모도 늘었으며 인력도 늘었다. 병상규모는 304병상으로 늘면서 서민들의 건강을 돌보고 있다. 문제는 동구에 위치한 탓에 인천의 서북부 지역의 서민들은 인천의료원을 찾기 어렵다는 현실에 있다. 대한민국의 3대 도시로 자리매김한 인천광역시의 성장과 대비되는 대목이다.

최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인천지역 가구당 부채비율은 5269만원으로 서울(7953만원), 경기(7394만원)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물론 이같은 수치를 단순비교할 순 없지만 인천의 인구증가는 곧 서민들의 유입이 많은 데 기인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결국 이들은 몸이 아플 때 공공의료지원에 기댈 수밖에 없다. 인천시는 서둘러야 한다. 인구 300만 대도시로의 진입은 도시의 성장세 만큼이나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서민들의 유입과 이에 따른 공공의료지원의 필요성 또한 그만큼 시급히 해결돼야 하는 문제다. 그래서 제2 의료원은 건립은 서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