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이 겪는 설움은 끝이 없다. 최근 청년정책의 선도 지자체로 불리는 수원시가 추진한 청년주거용 청년주택사업이 주민들의 반발로 예산을 전액 삭감당했다. 시는 청년정책 지원방안 중 하나로 청년이 활동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조성하기 위해 수인선 고색역 상부공간 유휴지 활용방안으로 청년들의 창업공간과 주거시설을 짓기로 결정하고 국토교통부의 '창업지원주택' 사업지 공모에 참여한 상태다.

시는 이 지역에 주택 250호 창업지원시설을 비롯한 도서관·주민센터·경로당 등 주민편의시설을 복합조성하는 계획까지 마련했다고 한다. 누가 보더라도 청년과 노인, 주민이 한 시설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사업이었다. 하지만 주민들의 생각은 달랐다. 주민들은 시의 조성계획에 청년시설이 끼어들었다며 반대했다. 이 문제도 충분히 설득으로 풀수 있는 문제라 여겼다. 그러나 수원시의회는 지역낙후를 앞세운 주민들의 철회 요구에 시 부담 사업예산 전액을 삭감하는 블랙코미디를 연출하고 말았다. 이뿐만 아니다. 청년들의 모임방을 꾸미기 위한 사업도 아파트 주민들의 반발에 밀려 부지 찾기에 곤욕을 치렀고, 결국 경기도 공모사업에서 탈락하는 좌절을 안겼다. 주민들도 나름대로 반대이유가 있겠지만 청년주거용 시설과 청년 모임방 시설이 부동산 가격을 하락시키는 원흉으로 지목된 점은 이해하기 어렵다.

우리사회가 '흙수저','N포세대'로 불리는 청년들을 배려하기 위한 정책에 눈 뜬지 불과 몇 년 안됐다. 우리사회는 책임만 요구했지 그들을 관심과 배려의 대상으로 보지 않았다. 그나마 최근 수원시를 비롯한 정부 등이 청년 일자리를 비롯 청년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청년이 정책 수혜자로 처음 떠올랐다. 그럼에도 우리사회 저변은 청년들에게 너무하다고 할 정도로 야박하다. '열정페이'와 '알바생 임금착취' 등 많은 사회적 문제에는 혀를 차지만 정작 청년문제가 나의 일로 여겨지면 외면하기 일쑤다. 이번 고색동과 광교주민들이 보여준 모습이 가면을 안쓴 우리사회의 진짜 모습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이라도 청년들을 품에 안아야 한다. 그것이 미래의 우리사회를 지키는 일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