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기성 방식 폐기물 자원화 '성능 보증' 부담 건설사 입찰 기피
30여년 전 화성시 우정읍 주곡리에 설치된 지정폐기물매립장이 폐업한 뒤 토양·수질오염을 야기하자 시가 해당 부지에 환경기초시설인 음식물처리 및 생활폐기물자원화시설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나 난항을 겪고 있다.

신설될 폐기물자원화시설은 미생물을 이용한 처리방식으로 설비가 복잡하고 운영상 결함 발생 가능성도 커 입찰을 기피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25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4월 우정읍 주곡리 161의 36 외 4필지에 복합공정이 가능한 하루 처리량 150t 규모의 음식물처리, 재활용선별, 적화시설과 매립장정비 등이 가능한 '주곡리 폐기물처리시설' 건립사업자를 공개입찰했다.

화성시는 지난 1994년 주곡리 폐기물매립장을 운영하던 민간업체가 파산하면서 해당부지의 저당권이 토마토저축은행으로 넘어가자 91억원에 매입했다. 그러나 지난 20여년간 사후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방치돼 왔다.
시는 당초 매립장의 사후관리보다 환경기초시설 건립계획만 가지고 장기간 방치하다보니 오염 관련 민원이 계속됐다.

시는 2013년 10월쯤에서야 주변 침출수나, 지하수, 매립가스, 지반침하 여부 등을 측정하는 사후관리를 하고 있다.

시는 총 1130억원 규모의 환경기초시설의 입찰을 진행했으나 참여 건설사가 없어 4월 유찰되고 말았다.

시는 당초 대규모 공사액수를 감안해 참여기업들이 많을 것으로 전망했으나, 기업들은 음식물처리 방식이 대구, 부산, 고양시 등에서 도입중인 '혐기성' 처리방식이라 입찰을 기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혐기성 방식은 산소가 없는 조건에서 폐수를 미생물을 이용해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친환경 방식이지만 처리과정에서 미생물이 죽어버리면 가동을 중단해야 한다.

특히 이 방식은 계약된 하루 150t의 처리용량을 소화하지 못할 경우, 추가 설비를 통해서라도 의무적으로 처리하는 '성능보존 보증'부분이 계약서에 포함돼 있다. 혐기성 처리방식을 도입한 타 지자체의 경우 1일 처리 기준량을 밑도는 날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복합공정시설 건설 참여업체들은 공사비용만 보면 수익은 보장되지만 건설노하우가 없이 해당 처리시설을 건설하는 건 도박에 가까운 것으로 보고 있다.

사업에 참여를 검토한 H건설 관계자는 "참여건설사들은 '혐기성' 처리방식에 문제가 생기면 자체적인 돈을 투자해 추가 처리시설을 만들어야 하는 위험성 때문에 입찰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장기간 방치되며 각종 민원이 끊이지 않던 지정폐기물 매립장 부지를 정비하려는 목적으로 환경기초시설을 추진하고 있다"며 "업체들이 입찰을 포기하는 현상에 대한 원인 분석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화성=이상필·김태호 기자 thkim@incheonilbo.com